인기메뉴
인기메뉴
인기메뉴
이전 슬라이드
play
다음 슬라이드
오늘마감
[무역협회-삼성SDS 공동] LCL화물 해상운송 지원사업 신청자 모집(~8/31까지, 미주/유럽/일본/인도)
모집기간 2025.05.29 ~ 2025.08.31
사업기간 2025.05.29 ~ 2025.08.31
D-3
화장품 분야 해외인증/지재권 전략 특강 설명회(9/4)
모집기간 2025.08.04 ~ 2025.09.03
사업기간 2025.09.04 ~ 2025.09.04
D-3
모집기간 2025.08.12 ~ 2025.09.03
사업기간 2025.09.10 ~ 2025.10.01
D-4
「수출, 제조기업 AI 도입 및 활용 세미나 」 (9/5, 14:00~16:30)
모집기간 2025.08.21 ~ 2025.09.04
사업기간 2025.09.05 ~ 2025.09.05
최근검색
전체삭제메뉴검색
오늘마감
[무역협회-삼성SDS 공동] LCL화물 해상운송 지원사업 신청자 모집(~8/31까지, 미주/유럽/일본/인도)
사업기간 2025.05.29 ~ 2025.08.31
D-3
화장품 분야 해외인증/지재권 전략 특강 설명회(9/4)
사업기간 2025.09.04 ~ 2025.09.04
D-3
사업기간 2025.09.10 ~ 2025.10.01
D-4
「수출, 제조기업 AI 도입 및 활용 세미나 」 (9/5, 14:00~16:30)
사업기간 2025.09.05 ~ 2025.09.05
한중 기업의 탄소중립 대응 전략 비교와 시사점
전 세계가 2050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공동 목표로 설정한 가운데, 제조업 강국인 한국과 중국은 산업 전환과 공급망 재편이라는 유사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COP26 이후 주요국 정부가 기후 규제를 강화하고 청정에너지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2025년에는 글로벌 청정에너지 투자 규모가 약 2.2조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탄소 집약적인 제조업 구조를 가진 양국에 강력한 전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대응 전략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트레이드 포커스2025.08.28
韓美 정상회담 주요 내용 및 평가
韓美 정상회담 주요 내용 및 평가韓美 정상은 8월 25일 정오(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첫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회담 전 트럼프 대통령의 게시글로 긴장이 조성되기도 했으나, 실제 회담은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것으로 평가된다. 양국은 ①무역 합의 ②투자 확대 ③한반도 안보 ④동북아 외교 등과 관련해 의견을 교환하며 상호 호감과 신뢰를 구축하였다. 농축산 시장 개방, 방위비 인상 등 민감한 이슈에 대해 미국 측의 추가 요구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덜었으며, 실무적 협상보다는 동맹관계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자동차 관세, 반도체·의약품 최혜국 대우 등 일부 사안은 확정되지 않았고, 대미 투자 구조·운영방식, 농축산물 시장 개방, 방위비 인상 등에 대해서는 양국 정부 간 언급에 미묘한 차이가 남아 있어 추가 조율이 필요하다. 한편 정상회담 후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조선, 원자력, 항공, LNG, 핵심 광물 등 5개 분야에서 2건의 계약과 9건의 MOU가 체결되어 한미 간 제조업 협력이 견고해지는 성과를 거두었다.<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원문 보고서 참고>
트레이드 브리프202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