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메뉴
인기메뉴
인기메뉴
이전 슬라이드
play
다음 슬라이드
D-2
모집기간 2025.11.03 ~ 2025.11.17
사업기간 2025.11.03 ~ 2026.07.31
D-3
[FTA통상종합지원센터] 수출기업통상환경 변화 대응 세미나 (11/18)
모집기간 2025.10.20 ~ 2025.11.18
사업기간 2025.11.18 ~ 2025.11.18
D-4
2025 중국·미국의 통상 환경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세미나(11/20)
모집기간 2025.10.23 ~ 2025.11.19
사업기간 2025.11.20 ~ 2025.11.20
D-4
모집기간 2025.11.10 ~ 2025.11.19
사업기간 2025.11.20 ~ 2025.11.20
최근검색
전체삭제메뉴검색
D-2
사업기간 2025.11.03 ~ 2026.07.31
D-3
[FTA통상종합지원센터] 수출기업통상환경 변화 대응 세미나 (11/18)
사업기간 2025.11.18 ~ 2025.11.18
D-4
2025 중국·미국의 통상 환경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세미나(11/20)
사업기간 2025.11.20 ~ 2025.11.20
D-4
사업기간 2025.11.20 ~ 2025.11.20
K-드론 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및 향후 과제
드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부상하고 있다. 그간 군용 위주였던 드론 기술이 2010년대 들어 점차 민간 영역으로 확산하면서, 드론은 국가안보뿐 아니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도 직결되는 ‘전략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과의 결합, 비가시권(BVLOS) 규제 완화, 드론 서비스 시장 확대 등이 드론 상용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세계 드론 교역 규모는 최근 3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하여 60억 달러를 돌파하였으며, 향후 2030년까지 전체 시장 규모는 연평균 14% 이상 성장하여 1,636억 달러까지 커질 전망이다.
트레이드 포커스2025.11.14
반도체 전방산업 업황 진단 및 2026년 전망
반도체 전방산업 업황 진단 및 2026년 전망2025년 반도체 수출은 하반기 들어 30% 내외의 가파른 증가세를 기록 중이며, 현 추세가 지속될 경우 전년도 사상 최고치(1,419억 달러)를 경신할 전망이다. 이는 메모리 제조사들이 고부가 반도체 중심으로 생산라인을 재편하면서 범용 DRAM 공급이 부족해진 반면, AI 투자 확대로 수요가 급증한 데 기인한다. 반도체 수요 구조는 전통적으로 PC와 스마트폰 중심이었으나, 2025년에는 데이터센터가 스마트폰과 PC를 제치고 최대 수요처로 부상할 전망이다. 데이터센터는 2025년~2026년 연 8~9%대 성장이 예상되는 반면, 스마트폰과 PC는 AI 기능 확산에도 불구하고 시장 성숙화로 2~3%대 성장에 그칠 전망이다. 이러한 전방산업 수요 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2026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17.8% 성장하며 9,098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가 33.8% 급증하며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원문 보고서 참고>
트레이드 브리프202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