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트레이드 브리프

2025 미국·EU 그린성장 전략 변화와 시사점

작성 2025.03.24 조회 1,923
  • 저자
    박소영 수석연구원
  • 목차
    1. 2025년 美 vs. EU 그린성장 전략 변화
    1-1. 최근 美 에너지·기후 정책 방향
    1-2. EU의 지속가능성 정책 방향

    2. 정책 비교 및 파급효과

    3. 결론 및 시사점
저자
박소영 수석연구원
목차
1. 2025년 美 vs. EU 그린성장 전략 변화
1-1. 최근 美 에너지·기후 정책 방향
1-2. EU의 지속가능성 정책 방향

2. 정책 비교 및 파급효과

3. 결론 및 시사점
글로벌 그린성장 전략 차원에서 미국과 EU가 최근 상반된 정책적 노선을 보이는 가운데, 공통적으로는 에너지 안보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며, 파리협정 재탈퇴 등 글로벌 기후 리더십을 축소하는 행보를 보이며 자국 에너지 개발과 자립을 위해 화석연료 중심의 ‘반(反)그린성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EU는 최근 '옴니버스 패키지' 정책 제안으로 기존 그린딜 기조에 더해 규제 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탄소중립 리더십을 동시 추구하는 ‘친(親)그린성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글로벌 그린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미국과 EU의 서로 다른 정책 방향 속에서도, 공급망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성장추구형 탄소중립 전략’을 위한 입법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기술적 우위 분야에 대한 참여 기회를 넓히는 동시에, 우리 기업들은 분야별 위기와 기회 요인을 반영한 유연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글로벌 ESG 대응 등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선제적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0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0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