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연구보고서

해외시장 트렌드
일본 헬스케어 산업의 해외진출 및 이노베이션과 시사점
  • 대륙아시아
  • 국가일본
  • 업종서비스
  • 품목기타서비스(의료/관광/교육 등)
  • 저자 이혜연, 박기임

2020.05.18 7,545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목차
I. 연구 배경 및 목적
II. 일본 헬스케어산업의 해외진출
Ⅲ. 일본 헬스케어산업의 이노베이션
Ⅳ. 결론 및 시사점

일본 헬스케어 해외진출 분석,

헬스케어 해외진출 확대 위한 4대 과제 제시

 

 우리나라 헬스케어 산업 발전과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4대 과제로 혁신 강화, 개도국 협력, 밀레니얼 세대 공략, () 의료업계와의 융합이 제시됐다. 글로벌 보건의료 서비스 환경이 공급자·치료중심에서 수요자·예방관리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도 헬스케어 산업의 해외진출 전략을 수정하고 관련 기업들도 디지털·모빌리티 업계 등 타 업종과 연계하며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해외진출 방식부터 병원건설·운영·의료서비스·의료기기 등을 패키지로 묶어 나가던 방식에서 의료시설·인력·파트너사 등까지 현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목표 시장도 의료·간병 등 메디컬 분야에서 피트니스, 건강식품, 생활습관 교육 등 질병의 예방과 관리까지 포함하는 헬스케어로 넓혔다. 또한 개발도상국 의료 인프라 진출의 목표도 해외 진출국의 경제성장 공헌에서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로 수정했다.

 

일본 기업들도 헬스케어의 편의성, 정확성, 접근성 강화에 나섰다. 최근에는 의료장비를 갖춘 차량에 간호사가 탑승해 환자를 방문하고 의사의 원격진료 후 간호사가 장비를 이용해 검사·처방하는 헬스케어 모빌리티 서비스가 추진 중이다. 또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기술을 활용한 환자의 약 복용 모니터링, 치료용 게임 등 소프트웨어 개발, 화상 진단 정확성 제고 등도 가능해졌다.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은 공적 건강보험 제도를 시행하고 의료 안전성에 대한 규제가 보수적인 면에서 의료 서비스 환경이 비슷하다면서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헬스케어 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4대 과제, 15개 실행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덧붙여 "코로나19 이후 한국 의료시스템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와 신뢰도가 상승한 지금을 기회로 삼아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변화에 맞는 발전 전략으로 해외진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