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연구보고서

수출입 동향
대중국 수출부진과 수출시장 다변화 추이 분석
  • 대륙전세계
  • 국가전체
  • 업종전업종
  • 품목전품목
  • 저자 조의윤
중국 수출 부진, 미국, 인도, 호주, 품목별 시장 다변화

2023.06.02 10,509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최근 무역수지 동향
Ⅱ. 품목별 수출시장 변화
Ⅲ. 중국 외 수출시장 다변화 요인
Ⅳ. 시사점

 지난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478억 달러 적자로 14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가 발생했다. 올해 역시 지난해와 유사한 흐름이 이어지며 4월까지 253억 달러 적자를 기록 중이다. 최근의 무역수지 악화는 수입증가 보다는 수출감소에 기인하는데 특히 중국으로의 수출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대중국 수출감소는 코로나 봉쇄 등 중국 내 경기적 요인뿐 아니라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발생했다. 중국의 중간재 자립도가 향상되면서 우리나라의 對중국 중간재 수출은 부진하고, 오히려 對중국 중간재 수입이 급증세다. 중국 수출부진이 장기화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해 중국 외 수출시장 발굴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최근에는 ‘중국 외 시장’으로의 수출이 대중국 수출과 비교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중국 수출은 4.4% 감소했으나 ‘중국 외 시장’으로의 수출은 9.6% 증가했으며 올해도 대중국 수출이 훨씬 부진하다. 중국 수출의존도는 2020년 25.9%에서 올해 1분기 19.5%까지 하락했다. 특히 석유제품, 석유화학, 자동차부품, 철강,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의 품목에서 중국 수출 비중이 빠르게 축소되었다. 지난해 대중국 석유제품 수출은 35.5% 감소했으나 대세계 수출은 64.9% 늘었으며, 대중국 이차전지 수출은 28.8% 감소에도 대세계 수출은 15.1% 증가하는 등 우리기업의 수출시장 다변화가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21년 이후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 등으로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다. 미국은 중국 수출의존도가 하락세인 대부분의 품목에서 수출이 늘었다. 지난해 미국 수입시장 내 한국 점유율은 3.55%로 1990년(3.73%) 이후 연간 최고치이며 올해 1분기에는 3.59%를 기록했다. 지난해와 올해(1분기) 우리나라의 가공단계별 수출순위에서도 미국은 자본재 1위, 소비재 1위, 중간재 2위 수출국에 위치했다. 인도는 석유화학, 철강,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플라스틱제품 등 5개 품목에서, 베트남은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등 2개 품목에서, 호주는 석유제품에서 우리 수출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중국 외 시장으로 수출이 늘어나는 원인으로는 첫째, 상하이봉쇄 여파 등 중국경기 악화로 중국의 대세계 수입수요가 크게 꺾이면서 수입수요가 안정적인 국가로 우리나라의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둘째, 중국의 중간재 수출자급도가 빠르게 향상되면서 상대적으로 자립도 상승세가 더딘 베트남, 인도로 고위기술 중간재 수출이 증가했다. 셋째, 자동차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자동차 주요시장으로 소비재 수출이 늘었다. 넷째, 신산업 수출의 축이 중국시장에서 미국, EU, 베트남, 인도로 이동했다.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비중이 높으나 자국 수출자립도가 상승하고 있는 국가로 중국과 유사점이 많아 수출시장 다변화의 장기적 관점에서 우리기업의 대응책 마련이 중요하다. 최근 소비재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나 자동차에 한정되고 있어 수출경쟁력이 높은 소비재 폼목을 다양화하는 것도 추가적인 과제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