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해외뉴스

"美 장기금리 상승에 국내 경기불안 가능성 커져"

작성 2021.03.25 조회 565
"美 장기금리 상승에 국내 경기불안 가능성 커져"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 증가로 인해 실물경기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내놓은 '한·미 통화정책 비교: 금융위기 vs 코로나19'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장기금리 상승은 미국의 신용스프레드 및 기간프리미엄을 증대시켜 국내 금융시장은 물론이고 실물경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은 궁극적으로 국내 장기금리, 원-달러 환율, 위험프리미엄에 상승충격을 주게 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이는 다시 외국인투자 등 해외자본 유출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또 미국 장기금리 상승 여파가 금융시장의 경로를 통해 실물시장으로 전이되면서 국내 총생산과 투자, 소비 등 주요 거시실물변수는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 장기금리 상승이 국내 주요 금융지표를 자극해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발생하면 외국인 주식 등 해외자본이 유출돼 증시하락과 같은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실물시장까지 파급되면 백신보급 등 호재에도 불구하고 꾸물거리고 있는 경기회복이 더욱 지연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향후 한국의 통화정책은 기준금리 중심의 단기금리 타겟팅 정책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장기금리의 안정화 관리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한국의 중앙은행은 비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긴 했으나 여전히 재정정책에 편중된 경기부양을 펼쳐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주가지수 급락 등 자산가격 하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경제위기 과정에서 늘어난 각 경제주체의 자금조달비용에 대한 부담을 완화해 경기회복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장기금리를 하향 안정화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뉴시스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