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통상뉴스

美 AEI 코로나19로 인한 금융시장 여파 및 세계 부채부담 증가

작성 2020.04.25 조회 751

AEI 코로나19로 인한 금융시장 여파 및 세계 부채부담 증가

이후권 대리(wlee1110@kita.net), 양상곤 연구조원

1. 코로나19로 인한 금융시장 여파

코로나19의 창궐은 경제활동 중단 및 폐쇄령을 통해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야기했고 이러한 실물경제 위기는 금융시장의 안정성를 저해시킴

- 코로나19 창궐이전 주식시장 거품에 대한 우려와 불안정성이 확대되면서 금과 국채 등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금값은 상승하고 국채금리는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음

- 2008년 주택시장 붕괴와는 달리 코로나19로 인한 자산시장 붕괴는 기업 채권 및 주식가치의 붕괴로부터 촉발될 것임

- 다만, 2008년 이후 대규모 금융시장 규제 및 개혁으로 은행은 더 많은 자본금과 유동성을 확보해 왔기 때문에 은행체계의 안정성은 긍정적임

- 반면 기업과 가계의 차입(Leverage) 투자가 지속적으로 상승해왔고 선진국을 포함한 개발도상국에서 차입 투자를 통한 주식시장 거품이 생성

 

코로나19 창궐 이전 세계 GDP3% 성장을 기대했던 것과는 반대로 현재 -3% 성장이 예측되고 있으며, 분기별 GDP 성장도 20% 이상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주식 등 자산 시장 위험도가 급증함

- 201912월 중국의 코로나19 발현 이후 중국의 기업과 개인도 투매를 통해 자산 매각을 실시했으며 질병이 확산되면서 경제 활동도 중단

- 현재 코로나19의 세계적 확대로 주식시장 폭락과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자산시장의 위험도는 급속도로 증가

 

특히 차입(Leverage)을 바탕으로 하는 파생상품 거래 증가로 2008년과 같이 주식시장 취약성이 배가됨

- 지난 3.20일 미국과 유럽의 파생상품 만기일을 앞두고 증거금 부족(Margin Call)을 통한 청산(Liquidation)을 피하기 위해 투자자들이 채권, 금과 같은 안전자산 및 주식을 투매하여 주식시장도 큰 폭으로 하락

- 또한 그 동안 장기투자자(Long Term Investor)로 분류되던 일반 금융기관도 주식시장 폭락에 따른 손실을 멈추기(Stop Loss) 위해 투매에 나섬

 

현재 연준과 각국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신속하게 공급하여 2008년 당시의 통화정책보다 큰 규모의 자본시장 보호 정책이 2주 만에 진행됨

- 연준은 단기금융투자상품(Money Market Mutual Fund, MMF)을 포함한 기업어음(Commercial Paper, CP) 매입을 통해 자금유동성을 공급함

- 환율과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회피(Hedging)수단으로 달러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업이 달러수급 문제에 직면하자 연준은 세계 14개의 중앙은행과 스와프 라인(Swap-Line)을 구축하고 달러 유동성을 공급함

- 연준은 채권 발행시장(Primary Market) 외에 유통시장 (Secondary Market) 개입뿐만 아니라 투자등급으로 분류된 회사채도 직접 매입 중

- 영란은행을 포함한 캐나다, 일본 등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자금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지원에 나서고 있으며 현재까지 세계 중앙은행이 시행한 통화정책의 규모는 약 6조 달러에 달함

 

또한 전 세계적으로 시행 중인 경기부양책의 규모는 지난 두 달간 약 8조 달러로 이는 세계 GDP(2018년 기준) 80조 달러의 10%에 해당하는 규모임

- 천문학적인 재정·통화 정책을 통해 주식시장은 20% 반등에 성공했지만 자본시장의 취약성과 기업의 부실한 재무상태는 여전한 문제임

- 2008년 당시에는 중국과 신흥국의 경제성장이 세계경제 회복을 이끌었으나 코로나19는 신흥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의 경기 침체를 불러일으키고 있음

 

미국의 경우 2008년 이후 지속적인 금융감독과 규제를 통해 건전한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세계 모든 은행이 재무건전성(Financial Stability)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님

- 대형은행 및 시중은행의 경우 1순위 안전자산(Tier 1 Capital)* 보유 증가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4~5% 수준의 자기자본비율**10~12%로 상승되어 은행의 재무건전성이 이전에 비해 개선됨

* 안전도가 높을수록 1에 근접한 자산으로 분류되며 보통주(Common Stock), 우선주(Prefferred Stock), 이익 잉여금(Retained Earning) 등이 1순위 안전자산에 속함

** 자본/자산의 비율이 최소 8% 이상 돼야 은행 재무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의 기준

 

 

- 이탈리아의 경우 대형은행을 포함한 금융시장이 위험에 처해있으며 개별 국가별로는 그림자 금융(Shadow Banking Sector)* 문제도 심각

* 투자은행, 헤지펀드, 사모펀드 등 은행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나 중앙은행의 엄격한 규제나 감독은 받지 않는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금융시장

 

한편, 미국 정부의 높은 수준의 공무원 연금 지출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 Mitch McConnell 공화당 상원 대표는 정부 대상 구제금융을 실시하기 보다는 정부의 파산을 권고한다는 입장을 내비침

- 높은 공공연금 기금 문제는 미국뿐만이 아닌 세계 각국이 직면한 문제임

 

2. 세계 경기회복 전망과 역사적 선례

세계 경기 회복 전망과 관련해서는 과거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함

- 2008년 금융위기 전 주택시장 붕괴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주식시장의 낮은 변동성을 인해 금융시장이 건전하다고 잘못 판단함으로써 Black Swan과 같은 2008년 금융위기가 촉발되었음

- 이번 코로나19 사태 역시 위험에 대한 인지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미흡한 대처로 또 다른 Black Swan이 발생하게 되었음

- 실제로 2019년 말부터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가 발병하였음에도 금년 2월 중순까지 주식시장의 변동성지수가 19*를 하회하는 등 정치·사회적 경각심 및 대응체제 확립에 소극적이었음

* 주식시장변동성지수(VIX)가 통상 20 이하면 시장 변동성이 낮다고 판단

 

V자 경기회복이라는 낙관론에 기대가 집중되고 있으나 U자 경기회복(중장기 경기침체 이후 회복) 또는 W자 경기회복(회복과 침체를 반복)에 무게가 실리고 있음

- 일반적으로 자연재해나 2003SARS와 같이 심도가 깊지 않은 질병 대유행의 경우 1~2분기 경기침체 후 급격한 회복세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번 코로나19는 빠른 경기회복을 기대할 수 없음

- 예를 들어 요식업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경우 경제활동 재개로 회복이 가능하나 조급한 경제활동 재개는 2차 확산의 위험도를 높임

- 미국 일부 의 리더십뿐만 아닌 세계 정치지도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험성을 경시하고 있으며 잘못된 긍정론을 바탕으로 경제활동을 재개시킬 가능성이 있음

 

스페인 독감, 대공황, 2008년 금융위기 등 역사적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의 경제활동 재개 준비는 아직 미흡한 단계에 속해 있음

 

- 1918년부터 다음해 1919년까지 창궐한 스페인 독감의 경우 당시 질병 통제권을 확보했다는 속단과 19181차 세계대전 휴전 기념일(Armistice Day)을 필두로 집회와 경제활동 재개가 진행되면서 스페인 독감이 3차 확산까지 이어짐

- 또한 1929년부터 1930년의 대공황 종식을 예단하고 1936년부터 세금인상과 더불어 재정·통화 정책의 기조 변화를 도모한 결과 1937년부터 1952년까지 주식시장은 다시 한 번 하락을 경험했음

-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재정·통화 정책을 통해 20096월부터 경기회복세에 돌입했으나 이후 2011년까지 실업률은 9%를 유지하며 더딘 회복세를 보임

- 이번 코로나19의 경우 2021년 전후로 재정·통화 정책의 조기종료가 예상되나 이를 통해 W자형 회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3.세계 GDP 대비 부채 부담 증가 및 통화정책의 한계

2008280%에 달했던 세계 GDP대비 부채비율은 코로나 19 확대 이전인 2019년 말 현재 320%로 상승

- IMF2020GDP 성장을 ·3%로 예측하고 있으며, 세계 GDP대비 부채비율은 34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전염병이라는 외부요인이 아니더라도 자체 내부요인으로 인해 세계경제는 이미 커다란 충격에 직면해 있음

- 과거 경제위기 때 마다 부채를 동반하는 재정·통화 정책을 통해 경기를 부양해 왔고 이러한 재정·통화 정책은 1987년이후 30년 이상 지속됨

- 통화 팽창(Monetary Expansion)*에 의존한 재정·통화 정책은 이론상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더 이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됨

* 일반적으로 물가상승(Inflation)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며 통화 유통량 증가로 단기적으로 재정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통화 가치가 하락함으로써 일정 수준 도달 시 화폐의 기능 상실 위험을 안고 있음

- 국가채무 증가 속도보다 화폐유통량 증가를 통한 더 빠른 경기성장을 도모함으로써 부채부담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음

- 다만, 초물가상승(Hyper Inflation)을 겪은 남미 경제의 사례를 볼 때 화폐 유통량 증가를 통한 경기부양책과 통화정책은 한계와 부작용을 내포

 

국가부도의 가장 큰 위협은 국가채무(Sovereign Debt)와 부채에 대한 경각심 부재임. 따라서 재정·통화 정책을 통한 경제 활성화가 아닌 채무에 대한 인식 변화와 채무부담을 덜기 위한 구조조정이 필요함

 

- 부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힘듬. 기업·기관의 재무구조는 대마불사(Too Big to Fail)가 아닌 대마불생(Too Big to Save)의 형태를 띠게 될 것이며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에 대한 염려로 구조조정을 단행할 수 없게 만들 것임

- 이미 아르헨티나가 9번째 국가부도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국가의 파산 또는 채무 재조정을 실시함에 있어 명확한 국제적 기준이 없는 상황임

- 또한 민간부문에서는 가계 대출을 억제할 방안이 부재하며 이는 근본적인 국가의 채무부담을 심화시키고 있음

- 채무 재조정 과정에 있어 행정적·법제적 한계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야 하나 국가와 국민 모두 채무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

 

현재 IMF190개 회원국 중 100개국 이상이 수십억 달러에 해당하는 보조금 형식의 자금지원을 요청한 상태임

- 향후 IMF가 개발도상국에 자금지원 등의 조건부(Conditionality) 대출을 추진함에 있어 해당 채무국가가 별도의 차입투자(Leverage)를 통해 또 다른 부채를 창출하는 행위를 저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 그러나 일반적으로 국가 차원의 차입투자(Leverage) 제한은 용이한 편이지만 국제기구 및 외인 기관을 통한 차입투자 제한은 어려운 주문(Tall Order)

 

세계 기준금리는 지난 수년간 낮은 수준을 유지 해왔으며 생산성 저하와 안전자산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인하의 압력이 가중되어 왔음

- 각국의 은행과 대출기관이 저금리 대출을 시행하면서 부실기업아 증가하고 높은 생산성을 갖춘 기업에 대한 자원배분이 감소하여 세계 GDP는 지난 수년간 낮은 성장률을 보여 옴

 

신흥국의 부채수준은 지난 10년 간 약 두 배 증가했으며 규모는 70조 달러에 달함. 신흥국의 높은 부채수준과 신흥국 경제에 미치는 코로나19의 파급 효과로 인해 현재 국가부도 위기 가능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

- 세계경제가 둔화되면서 1차 상품(Commodity Price) 가격하락과 중국의 경제활동 둔화 등 악재가 겹침으로써 신흥국에 투자한 외국자본이 빠른 속도로 빠져 나가고 있음

- 브라질, 터키,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의 신흥국과 저소득 국가의 채무 불이행 문제 또한 세계 금융시장의 큰 걸림돌이 될 것임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