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통상뉴스

WITA 세미나: 세계무역기구(WTO)의 미래

작성 2020.09.15 조회 1,082

WITA 세미나: 세계무역기구(WTO)의 미래

 

1. COVID-19 이후의 무역

 

□ COVID-19 이전부터 상품 무역은 둔화되는 반면, 서비스 무역은 증가하였으며, 금번 코로나19 위기로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임

 

o 일반적으로 서비스 무역과 관련된 공급망은 노동력 보다는 디지털 플랫폼에 더 의존하고 있음
 

- 서비스무역 공급망의 경우 기술 변화로 데이터 현지화에 대한 수요가 많음

 

o 글로벌 협력이 계속 실패를 거듭하면서 회원국간 규칙을 바로 잡거나 새로 제정하려는 노력이 사라짐

 

o 국내 수요와 공급망을 늘리려는 중국의 행동으로 동아시아의 무역 패턴이 변화함
 

- 시 주석은 14차 5개년 계획(2021~2025년)에 이중순환(Dual Circulation) 전략을 포함시킴으로써, 자립 경제 구축 및 해외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을 추진하고 있음
 

- 그러나 해외 기술과 투자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은 아니므로 글로벌 무역 시스템을 도외시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됨

 

□ 향후 사전예방(precautionary) 시스템을 채택하는 국가가 증가할 것이며, 무역에서 라이센스(license) 또는 보건기준 충족 여부가 핵심 요소가 될 전망

 

o 미국의 무역 제재는 정치·안보와 연결되어 늘 문제가 되어 왔지만, 최근 중국 기술기업 관련 제재는 상당히 강화된 측면이 있음
 

- 트럼프 행정부의 과도한 무역 제재 수준은 여타 국가에도 위험을 안겨줌
 

- 기업은 유연한 소싱체제를 구축하여 무역장벽에 탄력적일 수 있도록 성장해야함

 

o 또한 무역 시스템은 전염병과 같은 현상에도 적응해야 하고 미국은 향후 자동화를 통해 경제 자립 국가로 전환할지를 결정해야함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개방적인 무역을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려워 질 것으로 예상

 

o 회원국은 규칙 기반 무역 시스템에 근거하여 WTO 규칙을 개정하는 문제와 중국과 공존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논의해야함
 

- 중국의 무역 관행이 세계의 시장 자본주의나 자유무역 가치에 위배될 때 이를 제재할 수 있는 방안이 아직 구축되지 않음

 

o 국내 생산자를 해외 경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보다 우선적으로 식량 부족, 환경 문제, 인권 등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 더 중요함
 

- 코로나19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국가개입 및 국가지원(보조금) 등의 새로운 이슈가 대두되고 있음
 

- 선진국 및 일부 개발도상국에서 정부 개입이 증가하면서 정부가 주도하는 일자리, 투자, 조달과 관련 수요가 증가할 전망임

 

o 세계화는 고통스럽지만 효율적인 반면, 반(反)세계화는 고통스럽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세계화를 선택해야함
 

- 세계화가 유행병, 기후변화, 환경문제, 데이터, 사이버보안 이슈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지만 이는 누구도 제지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현상임을 인식해야함

 

2. 무역이슈와 WTO의 역할

 

□ 사전예방(precaution)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세계의 분열을 가속화시켜 개도국이 코로나19에 의한 타격을 더 크게 받게 할 것임

 

o 전 세계가 동부와 서부로뿐만 아니라 남부와 북부로도 나눠지게 될 것 
 

- 경기부양책을 시행할 여유가 있는 북부 국가들과 코로나19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 자금, 통치력 및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남부 국가들 간 격차가 심화됨

 

o 선진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바이러스 통제는 개도국에서는 실현 불가능함
 

- 개도국들은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경기침체가 향후 10년간 지속될 가능성

 

□ 현재 세계적인 의제를 정립하는 선도 국가나 국제 금융기관이 존재하지 않음

 

o WTO는 무역이 여러 지역에 걸쳐 생산 및 공급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식하고 회원국간 대화와 협력을 장려하면서 신뢰를 재구축해야함
 

- 어업보조금 관련 합의를 진전시키고, 각국의 수출 금지를 철회토록 하여 의약품과 식품의 가용성을 높여야함
 

- 국제 금융기관과 개도국을 연계시켜 개도국의 경제발전을 독려할 필요

 

o 또한 WTO의 유용성과 역할을 분명히 하고, 중국이 새로운 보조금 규칙을 수용하도록 촉구해야 함
 

- 최혜국(MFN) 원칙의 기본 취지는 유지하되, MFN을 넘어서는 새로운 원칙이 필요함. 한 국가가 나머지 회원국을 떠받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이에 대한 다자간 합의 또는 연대가 필요
 

- WTO에서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선진국들은 개도국이 반덤핑·상계관세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를 마련해야 함

 

o 특별 대우는 낡은 방식이며, 주요 개도국이 규칙을 우회하여 혜택을 누릴 수 없도록 규칙을 개선해야 함

 

□ 회원국들은 WTO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WTO의 정당성(legitimacy)을 검토해야함

 

o 논란의 핵심은 분쟁해결제도와 상소기구가 세이프가드 협정과 세이프가드 허용범위를 잘못 해석한데에 있음
 

- 분쟁해결제도는 WTO의 규칙 제정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함

 

o 미국은 WTO 의사결정에 문제가 있다고 불평하지만, 문제점과 해결책을 명확히 제시하기보다는 단순히 상소위원의 임명만을 거부하고 있음
 

- Lighthizer 대표는 현재 EU 중심의 임시 상소 기구에 대해서도 불평하고 있지만 이는 부분적으로 동 문제를 방관한 그의 잘못도 있음

 

□ 미국 대선에서 만약 바이든이 승리한다면 무역이 최우선 과제는 되지 않을 것이지만, 바이든 행정부가 누구를 USTR로 임명하느냐가 큰 영향을 미칠 것임

 

o 반대로, 트럼프가 재선을 하게 되면 보호주의적인 기조가 계속될 것임

 

□ 탄소국경세, 어업문제 등의 환경문제는 앞으로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며, 세계 각국이 그린무역을 추구해야 함

 

o 유럽이 親 무역주의에서 親 환경주의로 돌아선 만큼 유럽의 그린 무역정책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