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통상뉴스

호주, 강력한 기후공시 규칙 도입… 기업들 ‘마비 상태’

작성 2024.07.30 조회 610

호주, 강력한 기후공시 규칙 도입… 기업들 ‘마비 상태’ 

 

O 세계 최대 1인당 온실가스 배출국 중 하나로 손꼽히는 호주가 엄격한 기후공시 규칙을 도입할 방침임에 따라, 규칙 준수에 대한 기업들의 우려가 증폭되고 있음.

 

- 호주는 지난 1월 ‘기후공시 의무화’ 법안을 발표했으며, 이에 따르면 호주 국내 상장사, 비상장사, 금융기관, 자산운용사 등 6천여 개 기업이 기후 데이터를 보고하도록 되어 있으며, 규모가 큰 호주 시장의 특성상 뉴질랜드, 홍콩, 싱가포르의 규칙보다 더 많은 기업에 영향을 미칠 것임. 

 

- 호주는 이러한 기후공시 규칙 도입을 통해 기후정책이 뒤처진 국가에서,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가 제시한 새로운 기후보고 가이드라인을 최초로 이행하는 선도국 중 하나로 우뚝 설 전망임. 허나, 일부 호주 기업들은 기후공시 준수에 대한 우려로 “마비 상태”에 빠져 있다고 컨설팅 회사 커니(Kearny) 관계자는 밝혔음.  

 

- 호주 당국은 기후공시 규제준수 비용을 100만 호주달러(미화 65만5550달러)로 추정하고 있으나, 법무법인 앨런스(Allens) 관계자는 일부 대기업의 경우에는 총 비용이 300만 호주달러를 넘을 것으로 추정했음. 아울러, 기업들은 규제 준수 준비를 위해 기후공시 기준 초안에 근거하여 표준 초안과의 격차를 분석하고, 재무, 법률, 위험 및 지속가능성 부서를 아우르는 사내 실무 작업 그룹을 구성해야 한다고 지적했음. 

 

- 동 규칙은 내달 중 호주 회계기준위원회(Accounting Standards Board)에 의해 확정될 예정으로 오는 2027년까지 3개 그룹에 걸쳐 단계적으로 시행될 방침이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scope3(기타 간접배출)에 대한 보고가 수반되기 때문에 대상 기업들 모두 공급망 전반에 걸친 기후 영향을 보고해야 함. 

 

- 본지 산하 분석 기관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loomberg Intelligence)’ 에 따르면 현재 기후 시나리오 분석 등 포괄적인 기후 관련 공시원칙을 채택하고 있는 호주 기업은 전체 상장기업의 약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현재 호주 증시 벤치마크 S&P ASX/2000 지수 종목 중 40% 이상이 세계 최대 채굴업체 등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 새로운 기후공시 규정 도입은 기업들의 탈탄소화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올해 시행에 들어간 유럽연합의 지속가능성공시지침(CSRD) 등, 복수의 기후보고 시스템 하에서 공시 의무를 준수해야 하는 호주 글로벌 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새로운 공시 규칙만으로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기후 영향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임. 이와 관련, 법무법인 애셔스트(Ashurst) 관계자는 “기관투자자들은 생물다양성, 폐기물 감소 및 재활용, 공급망 실사 등의 문제도 검토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내용은 호주 기후공시 규칙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음. 

 

출처: 블룸버그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