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경상수지 91.5억달러 흑자…에너지 수입감소에 동월 최대
상품수지 94억달러 흑자, 8월기준 2위…수출 1.8%↓·수입 7.3%↓
여행 등 서비스수지 -21.2억달러…분기배당에 배당소득수지 10억달러↓
한은 "9월 경상흑자 100억달러 상회 전망…美 관세 영향 아직"

8월 경상수지 91.5억달러 흑자…에너지 수입감소에 동월 최대
지난 8월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면서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8개월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8월 경상수지는 91억5천만달러(약 12조8천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7월(107억8천만달러)보다 줄었지만, 8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일 뿐 아니라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28개월 연속 흑자 기록이다. 올해 들어 8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693억달러)도 지난해 같은 기간(559억4천만달러)보다 약 24% 많다. 한은은 9월 경상수지 흑자 폭이 더 확대될 것이라며 연간으로 한은의 전망치(1천100억달러)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 호조에 9월 수출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고, 8월 분기배당지급 영향도 해소되면서 9월에는 100억달러를 상회하는 흑자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연간 1천100억달러를 예상하는데, 지금까지는 그 경로를 따라가는 모습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송 부장은 미국 관세 부과 영향과 관련해 "상반기 관세 영향이 더디게 나타나다가 8월부터 대미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아직은 재고 활용, 수입처 다변화 등을 통해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전체적으로 반도체 경기가 좋고, 유가도 안정적"이라며 "대미 수출을 중심으로 관세 영향이 점차 나타나겠지만,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항목별로는 상품수지 흑자 규모(94억달러)가 역대 8월 가운데 2위였다. 다만 7월(102억7천만달러)보다는 8억달러 이상 감소했다.
수출(564억4천만달러)이 작년 같은 달보다 1.8%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석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고, 7월(597억8천만달러)보다도 33억달러 이상 축소됐다.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26.9%)·승용차(7.0%) 등이 전년 동월 대비 늘었지만, 반대로 철강제품(-11.7%)·컴퓨터주변기기(-15.5%)·무선통신기기(-11.0%) 등은 뒷걸음쳤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3.5%)에서만 호조를 보였고, 나머지 EU(-9,2%)·미국(-12.0%)·일본(-5.3%)·중국(-3.0%) 등에서 모두 고전했다. 수입(470억4천만달러)의 경우 작년 같은 달(507억5천만달러)보다 7.3% 적었다.
특히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석탄(-25.3%)·석유제품(-20.3%)·원유(-16.6%) 등 원자재 수입이 10.6% 급감했다. 반대로 정보통신기기(26.4%)·반도체제조장비(9.5%)·반도체(4.5%) 등 자본재 수입은 3.1%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1억2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21억4천만달러)보다 소폭 줄었지만, 작년 8월(-11억1천만달러)과 비교하면 10억달러 이상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 적자(-10억7천만달러)가 7월(-9억달러)보다 늘었고,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6천만달러)도 7월(-3억2천만달러)에 이어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0억7천만달러)는 7월(29억5천만달러)의 약 70% 수준에 그쳤지만, 8월 기준으로는 역대 2위였다. 분기 배당 지급으로 배당소득 수지가 25억8천만달러에서 15억8천만달러로 10억달러나 감소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8월 중 78억8천만달러 불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14억4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21억5천만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84억1천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주식 위주로 2억9천만달러 늘었다.
[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