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국내뉴스

경기 수출 중소기업 47% "미국 고관세로 직접적인 피해"

작성 2025.09.29 조회 180

경기 수출 중소기업 47% "미국 고관세로 직접적인 피해"

피해기업 53% "상당한 타격"…56%는 신규 수출국 발굴 등 자구책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설문조사 결과 자료[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기지역 수출 중소기업의 절반 가까이가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이달 2~23일 수출 실적을 보유한 도내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47.3%가 미국의 고관세로 '구체적인 영향(직접적인 피해)'을 받았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52.5%는 '매출에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고 했다.

 

'약간의 타격을 받았다'는 기업이 40.3%였으며, '영향 없다'고 답한 기업은 7.2%에 불과했다.

 

피해 유형은 '단가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29.3%)와 '해외 바이어 거래 유지 어려움'(28.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전체 응답 기업의 55.5%는 자구책을 추진 중이라고 답했다.

 

'생산비 절감'(20.3%), '신규 수출국 발굴'(20.0%) 등의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기업의 36.1%가 신규 시장 개척 의지를 나타내 평균보다 훨씬 높았고, 반도체 기업의 51.5%는 기존 시장 유지·집중 전략을 택했다.

 

신규 진출 희망 지역으로는 EU(24.7%), 인도(11.1%), 일본(6.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 지원과 관련한 질문(복수 응답)에는 응답 기업의 62.7%가 '수출금융'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고 이어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48.0%), '해외규격 인증 지원'(47.7%), '해외마케팅 대행 지원'(46.7%) 등을 원했다.

 

김현곤 경기도경제과학진원장은 "이번 조사로 미국 고관세 정책 변화가 도내 수출 중소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기업들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금융·마케팅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홈페이지(www.gbsa.or.kr) '이슈브리핑'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