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해외뉴스

"트럼프 '재집권시 중국산 全수입품에 60% 관세' 검토"

작성 2024.01.28 조회 549

 

"트럼프 '재집권시 중국산 全수입품에 60% 관세' 검토"

"현실화하면 집권 1기때 무역전쟁 능가하는 혼란 가능성"

여유 있는 포즈로 승리 연설하는 트럼프[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나설 것이 유력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 시 중국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참모들과 논의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일괄적으로 60%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에 대해 참모들과 내부적으로 논의해왔다고 WP는 전했다.

WP는 이 문제에 대해 잘 아는 3명의 익명 인사를 취재한 결과라고 소개했다.

퇴임 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집권 당시에는 실행하지 않았던 대중국 최혜국 대우 폐지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명해왔는데 그 경우 중국산 수입품의 40%에 대해 연방 정부 차원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된다. 또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발 수입품 거의 전부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공약 차원에서 제기해왔다.

이번에 WP가 보도한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한 60% 관세 부과' 방안은 기존에 트럼프 진영발로 거론되어온 대중국 관세 부과 방안 중 가장 강력한 내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산 전 수입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과 세계 경제에 트럼프 집권 1기 때 이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 견해라고 WP는 전했다.

특히 중국에서 수입해온 공산품 가격을 높임으로써 그렇지 않아도 심한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다는 예상이 가능해 보인다.

싱크탱크 '세금재단'의 에리카 요크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2018년과 2019년 무역전쟁은 큰 피해를 몰고 왔지만 중국산에 대한 60% 관세는 그 수준을 한참 뛰어넘을 것"이라며 "이는 수 세기 동안 보지 못했던 수준으로 세계 무역 질서를 뒤집고 해체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2017년 1월∼2021년 1월) 중 중국의 불공정한 경제 관행과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를 제기하며 2018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4차례에 걸쳐 총액 수천억 달러(수백조 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 같은 고율 관세는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