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글로벌 공급망 병목·물류대란 공동 대응"
미 바이든 주재 공급망 정상회의 참석 발언…연대·협력 강조
"세계 공급망 안정 시급…한 나라 역량만으로 해결 어려워"
G20 정상회의를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이탈리아 로마 누볼라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공급망 회복력 관련 글로벌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각) 로마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주재로 열린 공급망 회복력 관련 글로벌 정상회의에서 "우선 각국이 할 수 있는 비상조치를 총동원하여 자국 내 물류 흐름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부터 1시간 동안 이탈리아 로마 G20 정상회의장인 누볼라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공급망 회복력 글로벌 정상회의 참석 발언에서 "공급망과 물류는 상호 연결과 흐름의 문제로 한 나라의 역량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과제"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번 정상회의는 바이든 대통령 주재로 개최됐다. 최근의 심각한 글로벌 수급난과 물류 차질 등의 문제가 코로나 이후 경제 회복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촉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 대통령을 비롯해,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상임의장,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등 G20 정상들이 참여했다. 이외에도 G20 초청국인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마크 루터 네덜란드 총리, 리센룽 싱가포르 총리, 펠릭스 치세케디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 등이 회의에 초청돼 총 14명의 정상이 참석했다.
나머지 주요국 정상과 달리 콩고 대통령이 이날 회의에 초청된 것은 미국의 대(對) 중국 압박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콩고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코발트의 전 세계 절반이 매장돼 있다. 미국은 중국이 최근 콩고 코발트 광산에 공세적 투자로 공급망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국 자원개발 업체들은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의 핵심인 코발트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세계 코발트 공급량의 58%를 차지하고 있는 콩고민주공화국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중국증권망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에 따르면 중국 코발트 채굴업체인 뤄양 몰리브덴은 지난해 5억5000만 달러에 콩고민주공화국의 키산푸 광산 지분 95%를 사들였다. 이 업체는 올해도 콩고민주공화국 최대 코발트 광산인 테네 풍구루메에 자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코발트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디지털 기기 배터리뿐만 아니라 전기차 배터리 생산 등에도 필수적인 광물이다. 중국의 사재기 영향 등으로 코발트 국제가격이 급등하고 국제 공급망까지 흔들리면서 미국 산업계에서도 중국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개회사에 이어 참석 정상 가운데 첫 번째로 발언권을 행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G20 의장국 정상인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와 마무리 발언을 맡았다. 문 대통령은 "일상 회복의 시간이 다가오면서 코로나로 억눌렸던 소비와 투자 수요가 빠르게 되살아나고 있다"면서 "그러나 글로벌 공급망의 회복은 아직 절반에 머물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세계 곳곳에서 생산과 물류 차질이 발생하면서 공급 측면의 회복이 지체되고,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플레이션 압력도 확대됐다"며 "완전한 경제 회복을 위해 글로벌 공급망 안정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 경제는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하나의 사슬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며 "모든 나라의 경제활동이 정상 궤도로 복귀할 때까지 글로벌 공급망 불안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들이 자유로운 교역과 투자를 통해 더욱 촘촘한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고 공정한 무역질서를 복원해야 한다"며 "먼저 글로벌 물류대란에 공동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20 정상회의를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이탈리아 로마 누볼라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공급망 회복력 관련 글로벌 정상회의에서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공항과 항만 뿐만 아니라 철도와 도로 등 육상 물류망과 물류 인력과 컨테이너 운영을 극대화하고, 방역과 백신 접종에 있어서 물류거점을 최우선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와 기업인들이 함께 대체 운송수단 마련, 운송 일정 조절과 같은 공동의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향후의 물류대란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운송부터 통관, 유통까지 물류 관리 체계를 디지털화 하고 관련 데이터와 정보를 긴밀히 공유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했다.
회의 후에는 ▲투명성 ▲다양성과 개방성 및 예측 가능성 ▲안전성 ▲지속가능성 등 4개 핵심축을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의장성명이 채택됐다.
청와대는 "이번 공급망 정상회의는 시급한 포스트 코로나 경제 회복 과정에서 발생한 공급망 불안정 상황에 대한 각국의 우려와 평가를 공유하고, 각국 정부와 기업이 연대와 협력, 다자주의 정신으로 함께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의 대응을 해 나가야 한다는 데 있어 국제사회 전반의 관심과 지지를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뉴시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