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국내뉴스

작년 역직구 수출 건수 줄고 금액 증가... 1.2조원 역대 최대

작성 2023.02.28 조회 1,421
작년 역직구 수출 건수 줄고 금액 증가... 1.2조원 역대 최대
화장품 비중 31%로 1위…음반·영상물 수출금액 급성장 
중국 역직구 줄고 미국 늘어…화장품·의류 中수출 부진

'K-뷰티'와 'K-컬처'의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전자상거래를 통한 해외 수출(역직구) 금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8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의 '2022년 전자상거래 수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의 역직구 금액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9억1천만달러(1조2천억원)로 5년 연속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역직구는 코로나 사태 이후 2020∼2021년 연속으로 100% 이상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왔다. 특히 작년에는 수출 건수가 14.7% 감소했음에도 금액은 증가했다.

역직구 시장은 화장품이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음반, 영상 콘텐츠 등 문화 관련 상품 수출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화장품의 작년 전자상거래 수출 금액은 전년 대비 5.4% 증가한 2억8천100만달러로 전체 품목 중 가장 많은 30.9%를 차지했다.

다만 대(對)중국 화장품 수출은 2년 연속 많이 감소해 2020년 4천300만달러에서 지난해 1천900만달러까지 줄었다.

음반, 영상물을 포함한 기록용 매체 수출은 전년 대비 39.6% 급증한 9천900만달러를 기록해 화장품 다음으로 큰 비중(10.8%)을 차지했다.

전세계적으로 온라인 영상·음원 소비가 확대된 가운데 K팝 호황이 이어지면서 중국·북미·중남미 중심으로 음반 수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음반·영상물 수출액은 2020년만 해도 전체 역직구 품목 중 6위에 머물렀지만 2021년부터 2위를 지키고 있다.

여기에 아이돌 포스터, 포토카드, 사진집 수출도 급증하면서 인쇄물 역직구도 전년 대비 229.0% 늘어난 1천700만달러를 기록했다.

K-컬처의 최대 수출 시장은 역시 중국이었다. 지난해 기록용 매체와 인쇄물 모두 중국이 가장 큰 역직구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전체 전자상거래 품목 기준으로 보면 대중 수출 금액은 11.2%나 감소했다. 중국에서 궈차오(애국주의에 따른 자국 제품 선호) 열풍이 거세지면서 화장품과 의류 수출이 부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으로의 역직구는 23.9% 증가한 3억2천300만달러로 전체 국가 중 1위로 올라섰다. 프린터기(+192.5%)와 보건용 마스크(+61.7%), 음반류(+42.1%)가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일본은 13.4% 감소한 2억3천600만달러로 미국 다음으로 많았다.

서울=연합뉴스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