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해외뉴스

"틱톡 거의 손에 넣은 트럼프 방중, 中보잉·대두 구매에 달려"

작성 2025.09.17 조회 202

"틱톡 거의 손에 넣은 트럼프 방중, 中보잉·대두 구매에 달려"

中매체 보도…"中 틱톡 미국 사업권 매각 보상 요구에 美 거부"

"中, 9월 첫 주 美에 공식 국빈 방문 초청장…협상 마무리 단계"

 


2017년 11월 중국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중 협상이 "마무리 단계"이지만 "성사 여부는 미국산 대두와 보잉 항공기 구매에 달려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7일 보도했다. SCMP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이달 첫째 주 중국 측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국빈 방문 초청장을 공식적으로 보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지난 14∼15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미중 간 4차 관세·무역 회담이 열린 뒤 오는 19일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전화 통화를 예정한 상황에서 이 같은 전망이 나와 주목된다. 마드리드 미중 회담에서는 미국 내에서 안보 우려가 제기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기로 양측이 기본 틀 합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를 오라클 등 미국 투자자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인수하는 쪽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소식통은 "이제 관심은 2017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 대통령의 방중이 성사되느냐로 옮겨가고 있다. 국빈 방문 초청장 발송은 100m 달리기 경주에서 출발 신호가 울린 것과 같다"며 "(미국 측은) 중국이 보잉 항공기와 대두를 구매하는 것을 방중 성과물 목록에 올린 걸로 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중국이 빨리 대두 주문을 4배로 늘리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으나, 이와 관련해 즉답을 피해 온 중국은 이를 관세·무역 협상의 '거래 수단'으로 쓰려는 의지를 감추지 않아 왔다.

 

중국 해관총서(세관) 자료를 보면 올해 1∼7월 중국의 대두 수입량은 6천103만t으로, 여기에서 브라질산은 70%였고 미국산은 25%가 약간 넘었다. 보잉 항공기와 관련해서도 중국은 구매 의지가 분명하면서도 구매 계약 체결을 늦춰온 기색이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항공기 시장인 중국에서는 향후 20년간 상업용 항공기 수가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나 9천755대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국영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코맥)가 C909·C919 등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보잉 또는 에어버스 항공기 구매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보잉은 중국에 최대 500대의 항공기를 판매하는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국빈 방문했던 2017년 11월 당시 중국이 37억달러 규모에 달하는 보잉의 소형·중대형 항공기 300대를 구매한다고 발표했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보잉 항공기 구매 계약이 체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중국 당국이 2019년 보잉 737 맥스 추락사고 이후 해당 기종의 중국 내 운항을 중단시킨 바 있어 이번에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SCMP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 때 일정 협의를 두고서도 이견이 있다고 전했다.

 

중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베이징 방문 이외에도 순방 기간 중국 고속철도를 타고 상하이로 이동해 11월 5∼7일로 예정된 제8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CIIE) 참석을 권유하고 있으나, 미국 측은 부담스러운 일정이라는 반응을 보이면서 유보하는 태도를 보인다고 SCMP는 보도했다.

 

중국 측은 자국의 경제 및 기술 발전상을 과시할 목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고속철도 상하이행'을 권유하고 있으나, 미국 측은 이를 수락할 경우 "중국에 대한 양보"로 비칠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들은 SCMP에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들은 그러면서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이 성사된다면 내년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방문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홍콩 명보는 마드리드 회담에서 중국 측은 틱톡 미국 사업권 매각에 대한 보상으로 상호관세율 인하를 요구했으나 미국 측이 거부했다고 이날 전했다.

 

명보는 트럼프-시진핑 전화 통화를 계기로 틱톡 문제와 관련한 최종적인 합의가 나올 것이라면서, 이와 관련한 합의가 이뤄지지 못할 경우 경주 APEC에서의 미중 정상회담이 개최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명보는 아울러 "'관세 휴전'이 11월 10일 만료되기 전에 미중 간에 5차 무역협상이 열릴 수 있으며, 관세 휴전 기간이 다시 90일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고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