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해외뉴스

관세전쟁에 미국서 중국산 저가 공세 제동…중고시장은 반색

작성 2025.04.13 조회 348

관세전쟁에 미국서 중국산 저가 공세 제동…중고시장은 반색

중국산 소액 소포 관세 0→120% 폭등…쉬인·테무 직격타

패스트패션 등 가격 오를 듯…중고품 할인판매 업체엔 기회

 


중국의 쉬인 의류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AFP=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 격화로 최근 미국 내에서 몸집을 불려 왔던 중국산 저가 수입품 시장이 직격타를 맞게 됐다.

 

그간 소액 소포 면세 제도를 이용해 물건을 저렴하게 판매해 온 쉬인·테무 등 중국의 이커머스 업체뿐 아니라 중국과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 해외 공장에서 옷을 수입해 오던 패스트패션 업계도 가격 인상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11일(현지시간) 미 CNN뉴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벌이고 있는 관세 전쟁이 격화하면서 중국이 미국에 수출해 온 저가품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이는 이들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미국 내에서 시장을 키워온 쉬인·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다.

 

이들은 그간 800달러(한화 약 114만원) 미만 소액 소포에는 관세를 매기지 않는 '소액 면세 제도'를 이용해 저가 공세를 벌여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이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한 데 이어 소액 소포 관세율을 120%로 대폭 인상했다.

 

이에 2023년 한 해에만 10억개 넘게 미국으로 쏟아져 들어온 중국산 저가 상품들은 가격 인상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의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할인 시장에서 쉬인과 테무가 차지하는 비중은 17%이며, 2022년에는 미국 내 이커머스 배송의 80%가 대부분 중국에서 들어오는 소액 소포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쉬인, 테무 등 중국 업체들은 지난해 말부터 이미 베트남과 멕시코 등 제3국에 공장을 짓고 미국 내 창고에 재고를 대량으로 쌓아두는 등 관세전쟁에 대비해왔다.

 

그러나 미국 내 소비자들은 머지않아 중국의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높아진 가격과 길어진 배송 기간을 보게 될 것이라고 크리스 탕 캘리포니아대 국제 공급망 관리 교수는 내다봤다.

 

탕 교수는 CNN에 "소비자들은 가장 높은 가격을 치르게 된다"면서 "3∼4달러짜리 티셔츠는 곧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이커머스 업체 외에도 인건비가 저렴한 해외 공장에서 옷을 수입해 오던 패스트 패션 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외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가 90일의 유예 기간 이후 실제로 발효된다면 미국이 주로 의류를 수입하는 국가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파키스탄 등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CNN은 전했다.

 

미국의 의류 브랜드 어반아웃피터스와 월마트 등 주요 의류 도·소매업체를 대표하는 기관인 미국패션산업협회 측은 CNN에 자신들의 산업 분야가 "다른 어떤 제조업 분야보다도 글로벌 공급망에 더 의존하고 있다"며 우려했다.

 

다만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외 국가들에 부과한 상호관세가 국가들 간의 협상을 통해 완화된다면 미국 내 패스트패션 브랜드들은 가격 인상을 피해 갈 수도 있다고 CNN은 짚었다.

중국의 이커머스 업체와 패스트패션 업계가 긴장하고 있는 것과 달리 중고 거래 업체들은 트럼프 발 관세전쟁을 반기는 분위기다.

 

강력한 경쟁자였던 중국산 저가 상품들이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되면 저렴한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중고 시장으로 눈을 돌릴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미국의 온라인 배송 및 중고품 할인판매 업체 '스레드업'은 중국산 소액 면세 제도가 그동안 "패스트패션 업체들에 불공정한 이점을 제공해왔다"면서 면세 철폐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스레드업 측은 "패스트패션을 더 비싸게 만드는 것은 우리 소비자들이 중고품 선택지를 고르도록 장려할 것"이라면서 자신들은 미국 내 공급망을 이용하는 '슬로우패션'의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