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보도자료

보도자료

K-뷰티 열기 뜨거운 베트남…MZ세대를 잡아라

보도자료 작성 2021.07.12 조회 4,475
  • 담당본부
    국제무역연구원
  • 담당부서
    전략시장연구실

K-뷰티 열기 뜨거운 베트남MZ세대를 잡아라

-제품을 넘어 플랫폼, 서비스까지한국 스타트업이 여는 새로운 수출길-

 

베트남 화장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제품경쟁력에 더해 디지털 플랫폼, 콘텐츠 등을 활용하여 한국의 화장품 수출 동력을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박천일)13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베트남 화장품 수출 트렌드와 시사점에 따르면 베트남의 향수, 화장품, 헤어·구강용품 등 미용제품 시장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211348만 달러의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한 데 이어 2025년까지 342123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화장품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발달, 화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 등에 힘입어 베트남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일상 소비재로 변화하고 있어 향후 5년간 연평균 10.1%씩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베트남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와 위상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월등한 수준이다. 2020년 한국의 베트남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17.6% 증가한 22731만 달러로 역대 최고액을 기록했고 베트남 화장품 수입시장 내 48.1%를 점유하면서 일본(16.1%), 프랑스(10.8%)를 제치고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베트남으로의 한국 화장품 수출은 양적으로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플랫폼 활용 확대, K-뷰티 서비스 진출 등으로 수출 생태계가 다양해지고 있다면서 우리 스타트업들의 진출 성공사례를 소개했다.

 

디지털 플랫폼 활용 사례로 소개된 메이트코리아는 베트남인 86%가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잘로의 이커머스 플랫폼 잘로샵에 한국관을 독점으로 개설하고 베트남 바이어와 국내기업을 연결해주는 솔루션으로 베트남 시장에 안착했다. 고미코퍼레이션은 한국제품 전용 자체 이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해 몰 입점, 판매, 유통·물류, 고객응대 등 서비스를 일괄로 제공해 월 활성이용자 수 100만 명을 달성했다.

 

또다른 스타트업 잼페이스는 페이스북,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제품 정보를 얻고 소비하는 MZ세대를 겨냥해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화장법 및 제품 정보 자동분류, 개인 맞춤형 메이크업 지원 등의 뷰티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20214월 베트남 진출 2개월 만에 15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했다.

 

무역협회 김보경 수석연구원은 올해부터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세인하 혜택이 커지는 만큼 우리 기업들에게 더 큰 기회가 열릴 것이라며 수출 동력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플랫폼상의 고객들과의 접점 확대, 매력적인 콘텐츠 제공 등을 통해 구매 접근성과 신뢰도를 강화하며 긴 호흡으로 부가가치를 확대하는 전략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붙임 : 관련 보고서 1부 및 영상(https://youtu.be/6Fd2gAw9TSU). .

 

<연도별 베트남 미용 시장규모 및 성장률 동향>

 

<연도별 한국 베트남 화장품 수출 동향>

자료: Euromonitor

 

자료: 한국무역협회

 

 

 

 

순위

국가

수출액(백만 달러)

증감률(%)

비중(%)

 

 

 

 

 

1

중국

3,044.5

24.8

49.8

2

홍콩

614.0

-22.2

10.0

3

일본

547.8

59.8

9.0

4

미국

483.1

12.2

7.9

5

베트남

227.3

17.6

3.7

6

러시아

196.1

8.5

3.2

7

대만

125.6

5.2

2.1

8

태국

106.7

-9.2

1.7

9

싱가포르

99.4

-7.4

1.6

10

말레이시아

62.6

-5.1

1.0

 

 

 

 

순위

국가

수입액(백만 달러)

증감률(%)

비중(%)

 

 

 

 

 

1

한국

227.4

17.6

48.1

2

일본

76.2

51.1

16.1

3

프랑스

51.2

30.6

10.8

 

<베트남 화장품 수입시장 내 한국 점유율 추이>

: HS 3304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TradeMap

 

 

 

 

 

 

 

베트남 화장품 수출 트렌드

스타트업 사례

 

 

 

 

 

 

 

화장품 수출 증대

눈화장용 제품, 기초화장용 제품의 수출 견인

-

디지털 플랫폼 활용 확대

현지 이커머스 플랫폼 기반 한국관 구축

메이트코리아

한국제품 전용 자체 이커머스 플랫폼 구축

고미코퍼레이션

뷰티 서비스 진출

현지 소셜미디어 활용 뷰티 콘텐츠 제작

에이비씨 스튜디오

AI 기반 맞춤형 뷰티 유튜버 큐레이션

잼페이스

화장품 성분 정보 및 리뷰 제공

리뷰티

 

자료 : 연구자 정리

 

보고서 링크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