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트레이드 포커스

수출입 동향

2025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

수출입 동향 작성 2025.06.23 조회 5,449
  • 저자
    전보희 연구위원 외
  • 목차
    01 2025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및 평가

    02 2025년 하반기 무역·통상환경 전망

    03 2025년 하반기 수출입 전망

    04 품목별 수출 동향 및 전망
저자
전보희 연구위원 외
목차
01 2025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및 평가

02 2025년 하반기 무역·통상환경 전망

03 2025년 하반기 수출입 전망

04 품목별 수출 동향 및 전망

 2025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및 평가 

 

 (동향) 1~5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한 2,749억 달러, 수입은 2.5% 감소한 2,562

   달러, 무역수지는 187억 달러 흑자

 

 (수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등 IT 제품과 선박 수출은 증가했으나, 미국발 관세 등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여타 품목 수출은 감소

 

- 지역별로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국인 미국·중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아세안·EU·대만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하면서 수출의 특정국 집중도가 일부 완화

 * '251~5월 품목별 수출증가율(전년동기비 %) : (선박)12.1 (컴퓨터)11.9 (반도체)11.4 (무선통신기기)10.7

          * '251~5월 지역별 수출증가율(전년동기비 %) : (미국)-4.4 (중국)-5.0 (아세안)4.2 (EU)2.0 (대만)62.5

 

 (수입)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에너지 수입은 감소세

 

          * '251~5월 품목별 수입증가율(전년동기비 %) : (원유)-13.2 (천연가스)-9.6 (석탄)-34.9 (에너지 )1.1

 

 (수지) 1월 일시적인 적자 이후 흑자 흐름 지속 중

 

 (평가) 주요국 대비 수출 부진, 반도체 제외 시 수출 부진 확대

 

 관세 영향 품목 중심으로 대미 수출 부진 확대,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세

 

  

 

2025년 하반기 무역환경 및 수출입 전망

 

 (무역환경) 세계경기 회복세 둔화, 교역 위축, 상호관세 유예 만료(7/8)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 지속 예

 

 (세계경제) 무역정책 불확실성 확대로 세계경제는 2% 후반대, 세계 상품교역은 역성장 전망

    * 세계 경제 성장률('25p, %) : (IMF) 2.8 (OECD) 2.9 / 세계 교역 증가율('25p, %) : (WTO) -0.2

 

 (환율) 하반기 약달러 환경 속 1,300원대 중반 수준에서 점진적인 하락세를 이어갈 전망
 * '25년 달러화지수(DXY) : ('25.1Q) 106.7 (2Qe) 100.1 (3Qe) 99.0 (4Qe) 97.8

         ** /달러 환율(Bloomberg 6/16 전망, ): ('25.2Qe) 1,414 (3Qe) 1,390 (4Qe) 1,380

 

 (유가) 하반기 국제유가는 공급 과잉이 이어지면서 하방 압력이 우세하나, 중동 지역 분쟁 

    심화 시 공급 차질에 의한 단기적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 상존

     * 글로벌 원유 재고 전망(EIA, b/d) : ('25) +40('26) +80

 

 

 (통상)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협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미국의 보편관세(10%)와 품목별 

    관세가 미국 수입시장의 뉴 노멀(New Normal)’로 작용 예상

 

 (전망2025년 연간 수출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6,685억 달러수입은 1.8% 감소한 

   6,202억 달러무역수지는 483억 달러 흑자 예상

 

 하반기 수출은 자동차, 자동차부품, 철강 등 대부분의 주력 품목에서 미국발 관세 영향이 가시화될 전망

 

 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출 감소폭이 더 커 전년 대비 무역흑자 규모는 소폭 축소될 전망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0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0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