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트레이드 브리프

역직구 수출 시장 현황 및 시사점

작성 2024.08.29 조회 7,477
  • 저자
    김나율 연구원
  • 목차
    1. 해외직접판매(역직구)의 개요
    2. 우리나라의 역직구 현황
    3. 역직구 시장의 구조와 국내 주요 기업 현황
    4. 중국 역직구 기업 현황 및 시장전략
    5. 제언 및 시사점
저자
김나율 연구원
목차
1. 해외직접판매(역직구)의 개요
2. 우리나라의 역직구 현황
3. 역직구 시장의 구조와 국내 주요 기업 현황
4. 중국 역직구 기업 현황 및 시장전략
5. 제언 및 시사점
이커머스 플랫폼의 발달과 함께 국가간 전자상거래가 확대되며 국내 판매자가 국외 소비자에게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역직구(해외직접판매)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해외직접판매는 일본, 미국, 아세안으로의 의류, 화장품, 음악 관련 상품을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그 규모가 2014년 6,791억 원에서 2023년 1조 6,972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이커머스 기업은 판매자의 물류 운송 및 통관을 대행하고, 배송 기간을 단축하는 데 용이한 풀필먼트 서비스를 구축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주요 이커머스 업계는 제조기업-소비자 간 직접 거래(M2C), 특정 상품 특화 '버티컬 플랫폼'을 앞세워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 기업이 해외 역직구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풀필먼트 시스템을 강화하는 한편, 중국 알·테·쉬의 장점인 상품별 플랫폼 특화, 유통단계 축소, 가격중시 정책을 벤치마킹하고 각국의 ESG 기준에 부합하는 양질의 우수상품 판매에 힘써야 한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0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0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