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98 (2018년 10월 19일)
물류애로신고센터 물류기업 해외진출 지원 정보센터 오픈 물류기업 활용 해외시장진출 서비스
<해상운임>
  북미 항로는 무역분쟁과 국경절 관련 물량 밀어내기가 진정세를 보이며 운임이 하락세로 전환했다. 10월 중 주요 선사들의 blank sailing으로 인해 선복 수급이 타이트한 상황이며, 더불어 ‘19년 초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가 전망되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중남미 항로 또한 북미와 마찬가지로 중국발 물량 밀어내기가 진정세를 보임에 따라 운임이 하락세로 전환했다.
  유럽 항로는 신조선 투입에 대비한 선사들의 운임방어 노력에도 불구하고 운임의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11월 초반 크리스마스 관련 물동량이 마무리되고 나면 11월에도 시장운임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동 항로는 대다수 주요 선사들의 이란행 서비스가 중단된 것 외에는 별도의 특이사항이 없다.
  동남아 항로는 자카르타, 수라바야, 방콕 등을 중심으로 주요 선사들의 GRI 움직임이 있었으나 실행으로 옮겨지지는 않았다. 운임은 전월 수준을 나타내나 선사들의 ECS(Emergency Cost recovery Surcharge) 외에 추가 부대비용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있으므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중국 항로는 국경절 대비 물량 밀어내기의 진정세로 선복 수급에 여유를 보이고 있으나 운임 수준의 변동은 미미한 상황이다.
  일본 항로는 최근 잇따르는 태풍으로 인해 스케쥴 지연 등 영향에 대해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아프리카 항로는 서안을 중심으로 운임의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대양주 항로는 뉴질랜드의 성수기 진입세가 관측되고 있다. 일부 국적선사의 대형 선박 투입 소식이 있으나 아직 운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고 있는 상황이다.
  서남아·러시아 항로는 별도 특이사항이 없이 소폭의 운임 변동을 나타냈다.
<항공운임>
  유류할증료(Fuel Surcharge)는 유가 시황과 맞물려 전월 대비 인상된 장거리 510원, 중거리 470원, 단거리 450원이 부과될 예정이다.
  북미 노선은 11월 중국의 광군제,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와 맞물려 물동량의 집중이 전망된다. 이를 대비해 10월 중순경 운임 인상이 전망되고 있다.
  아시아 노선은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유지 중이나, 항공사들의 소폭 운임 하락이 관측되고 있다.
  중국 노선은 물량 밀어내기의 진정세로 상하이 지역을 중심으로 소폭의 운임 하락이 관측되고 있다.
  일본 노선은 태풍으로 인한 오사카 간사이 공항의 폐쇄와 도쿄지역 화물 적체가 해소되었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유럽·중남미·중동·대양주·아프리카·러시아 노선은 별도 특이사항 없이 시장 상황에 따라 지역별로 제한적인 보합세가 관측되었다.
  * 보다 자세한 운임정보는 한국화주협의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항로 해상운임 동향>
(단위: USD)
운송구간 20Ft 40Ft
8월   9월   10월   8월   9월   10월  
Busan → L. A 1,720 1,960 1,880 2,150 2,450 2,350
Busan → Antwerp 1,300 1,400 1,300 2,500 2,600 2,500
Busan → Dubai 500 500 500 750 750 750
Busan → Santos 2,100 2,300 1,500 2,100 2,500 1,500
Busan → Ho Chi Minh 330 330 330 660 660 660
* 상기 운임은 한국화주협의회에서 RADIS 협력업체를 통해 조사한 시장운임입니다.
* 상기 운임은 시장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중국 내륙운임>
  10월 중국 도로운임지수는 953.45를 기록, 9월 대비 -1.24% 하락했다. 도로운임지수는 매월 소폭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 중국 도로운임지수 동향 >
일시 2018.6.20 2018.7.18 2018.8.8 2018.9.12 2018.10.10
운임지수 991.36  975.74  938.67  965.46  953.45 
* 출처: 중국물류구매연합회(CFLP).
  지역별 운임동향을 살펴보면 LCL 중량화물의 경우 우한(-1.94%), 충징(-1.49%), 시안(-1.37%), 창샤(-1.33%), 청두(-1.32%) 등 전 지역에서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LCL 경량화물은 시안(-1.56%), 청두(-1.32%), 우한(-1.30%), 충징(-1.19%), 창샤(-1.06%) 등 전 지역에서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상해발 주요 내륙지역 운임동향 >
구분 청두(成都) 충칭(重庆) 우한(武汉) 시안(西安) 창샤(长沙)
LCL 중량화물
(단위: 위안/톤)
596  661  303  504  370 
LCL 경량화물
(단위: 위안/CBM)
149  166  76  126  93 
* 상기 운임은 중국 도로운송을 기준으로 한 내륙 트럭킹 운임.(2018.10.10 기준)
* 출처: 중국물류구매연합회(CFLP).
시장동향
장금상선·흥아해운, 컨선 통합법인 내년 7월 출범
기획/ 미중 무역분쟁 해운시장 피해 현실화
ONEㆍ하파그로이드, 피더도 제휴...아시아ㆍ유럽역내부터
머스크라인, ‘황산화물규제 겨냥’ 新유류할증료 내년 도입
정책동향
대기업 일감몰아주기 제동…물류계열사 3자물류 확대 추진
국토부, 항공운송사업 신규면허 심사 내달 추진계획
‘韓-아랍에미리트 AEO MRA’ 전면이행…수출기업 통관혜택
화주협의회 소식
한일항로 BULK 정기화물 통화할증료(CAF) 조정
한일항로 BULK 정기화물 유가할증료(BAF) 조정
한국도심공항 물류사업 소개
무역협회 뉴스
NAFTA 재협상 타결…알아야 할 10가지
한국 철강, 보호무역 직격탄…18개국서 87건 규제·조사중
美, 中 '일대일로' 맞설 67조원 규모 해외개발기구 만든다
무역운송 척척박사
<운송박사>항공사 코드 및 Air Cargo Tracking
실전 관세와 통관
<관세와 통관>관세환급의 리스크 관리
KITA한국화주협의회 수신거부 홈페이지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