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25 959
한국의 對중동 지역별 수출입 동향 (2020년 12월)
1. 對GCC 6개국 수출입 동향
□ 12월 對GCC 6개국 수출은 6.6억 달러(전년 동월 대비 △37.1%), 수입은 34.0억 달러(△32.7%), 무역수지는 27.4억 달러 적자
□ (수출) 전년 동월대비 37.1% 감소
ㅇ (국가별) 전년 동월 대비 對카타르(+20.3%) 증가. UAE(△18.0%), 사우디(△32.6%), 오만(△60.8%), 쿠웨이트(△78.2%), 바레인(△55.6%) 감소
□ (수입) 전년 동월 대비 32.7% 감소
- 對GCC 광물성연료 수입액 감소: 4,893,529천 달러 → 3,228,028천 달러
- 對GCC 광물성연료 수입중량 감소: 9,514,927천 kg → 9,322,725천 kg
ㅇ (국가별) 전년 동월 대비 對사우디(+6.8%) 증가, UAE(△58.3%), 오만(△25.0%), 쿠웨이트(△48.8%), 카타르(△48.0%), 바레인(△42.5%) 감소
□ (무역수지) 27.4억 달러 적자. 수출입액 모두 감소하여 전체 무역규모는 축소되었으며, 저유가 기조로 인한 광물성연료 수입액의 감소 폭이 커 전년 동월 대비 무역수지 적자 규모 감소
2. 對레반트(+이라크) 5개국 수출입 동향
□ 12월 對레반트(+이라크) 5개국 수출은 2.2억 달러(전년 동월 대비 △33.6%), 수입은 5.4억 달러(△36.3%), 무역수지는 3.2억 달러 적자
□ (수출) 전년 동월 대비 33.6% 감소
ㅇ (국가별) 전년 동월 대비 對레바논(+2.1%) 증가. 對이스라엘(△5.2%), 요르단(△24.4%), 시리아(△68.9%), 이라크(△55.0%) 감소
□ (수입) 전년 동월 대비 36.3% 감소
ㅇ (국가별) 전년 동월 대비 對이스라엘(+74.6%), 레바논(+45.6%) 증가, 對요르단(△53.6%), 시리아(△91.2%), 이라크(△46.7%) 감소
□ (무역수지) 3.2억 달러 적자. 對이라크 광물성연료 수입액이 46.8%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무역수지 적자 규모 감소
3. 對터키 수출입 동향
□ 12월 對터키 수출은 4.7억 달러(전년 동월 대비 +3.2%), 수입은 1.4억 달러(+10.5%), 무역수지는 3.3억달러 흑자
□ (수출) 전년 동월 대비 3.2% 증가
□ (수입) 전년 동월대비 10.5% 증가
□ (무역수지) 3.3억 달러 흑자. 전년 동월 대비 흑자 규모는 거의 동일하나 플라스틱과 그 제품, 일반차량과 그 부분품 등 수출액 증가 및 의료용품, 광·슬랙·회 등 수입액 증가로 전체 교역규모는 증가
4. 對이란 수출입 동향
□ 12월 對이란 수출은 1,937.6만 달러(전년 동월 대비 △14.8%), 수입은 20.8만 달러(△75.8%), 무역수지는 1,916.8만달러 흑자
□ 미국의 對이란 무역제재 지속으로 對이란 교역 어려움 지속
ㅇ 이란, 美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원유 수출 정상화 기대
※ 국가별 주요 수출입 품목 등 자세한 내용은 첨부의 보고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