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2021.08.03 10,490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태양광 시장 동향 및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탄소 중립'이 화두로 떠오르며 태양광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계획(2020년~2030년)’ 목표가 721GW인 가운데 태양광(460GW)은 63.8%에 달한다.
태양광 신규 설비 규모는 2020년 107GW이며, 2021년은 117GW에 이를 전망이다. 최근의 설비 용량 증가는 발전비용 하락과 관련 깊다. 2009년 359$/MWh였던 태양광 균등화발전비용(LCOE)은 2019년 40$/MWh까지 떨어지며 10년간 88.9% 감소했다. 태양광 설비비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미국, 중국, 인도 등 일부 국가에서는 태양광 발전비용이 석탄, 원자력보다 저렴하다.
글로벌 태양광 공급망 전반에서 중국기업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스트림 부문 중 잉곳, 웨이퍼 시장의 중국 점유율은 95%를 상회한다. 우리기업의 태양광 산업 진출은 미드스트림 부문에 집중되어 있다.
우리기업의 태양광 진출 유망 시장으로는 인도, 베트남, 미국, 호주 등을 꼽을 수 있다. 인도는 최근 5년간 발전용, 상업용, 가정용 설비의 연평균 증가율이 모두 30%를 상회할 정도로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베트남은 발전차액지원제도(FIT)에 힘입어 아세안 태양광 시장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미국과 호주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시장으로 가정용 태양광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다.
우리나라 태양광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공급망 강화 전략이 중요하다. 우선 미드스트림에서의 경쟁력 유지 및 강화를 위해서는 ‘탠덤 전지’와 같은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전지 및 모듈에 제한된 우리기업의 태양광 공급망 참여를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으로 확장해야 한다. 보조금 및 규모의 경제로 원가 절감에 성공한 중국기업과의 경쟁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저전력, 저단가 업스트림 제조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책이 시급하다. 태양광 발전소 유지 및 보수 등을 포함하는 다운스트림은 사물인터넷(IoT)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기업이 강점을 지닐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사업 분야이므로 관심이 필요하다.
도시화율이 상승세인 인도와 베트남은 빌딩, 공장 등이 대규모로 지어지고 있어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인도와 베트남은 송전망 용량이 태양광 발전량에 미치지 못하므로 국내 그리드 기업과 공동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미국, 호주 등 태양광 성숙시장은 가정용 전지 및 모듈 수출 외 태양광 활용 신산업 진입 및 폐모듈 활용 전략이 중요하다.
※ 해당 보고서는 KITA Youtube에서 동영상으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