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연구보고서

해외시장 트렌드
최근 인도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진단
  • 대륙아시아
  • 국가인디아(인도)
  • 업종전업종
  • 품목전품목
  • 저자 조의윤
인도, 신남방, 투자환경, 경제동향

2019.12.23 6,512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최근 인도 경제동향

Ⅱ. 對인도 해외직접투자 현황

Ⅲ. 인도 비즈니스 환경 진단

Ⅳ. 시사점 및 결론


최근 인도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진단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도가 주목 받고 있다. 2010274억 달러였던 인도 외국인직접투자(FDI)8년간 54.4% 증가하며 2018년에는 423억 달러를 기록했다. 글로벌가치사슬(GVC) 악화 영향으로 전세계 해외투자가 감소하고 인도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인도 직접투자 유입은 꾸준히 늘어나는 중이다.

 

 인도 투자 주요국은 싱가포르, 네덜란드, 미국, 일본 등이다. FDI는 서비스·컴퓨터·자동차·통신 산업에 집중되고 있는데 2018년 기준 서비스 산업으로의 투자 유입은 82.6억 달러로 전체의 28.4%를 차지했다우리나라의 인도 직접투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8인도 직접투자는 10.5억 달러로 2010년 대비 428.6% 늘어났다. 아세안과 인도를 포함하는 신남방권 11개 국가 중에서 인도 투자 규모는 베트남(31.6억 달러), 싱가포르(18.6억 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크다. 제조업 투자는 9.3억 달러로 전체의 88.3%를 차지했다.

 

  인도의 경영환경 개선은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을 증가시킨 첫 번째 요인으로 꼽힌다. 2014년 출범한 모디 정부는 인프라 투자 확대, 세금제도 개선, 중소기업 자금지원 등 친기업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했다. 그 결과 세계은행에서 발표한 2019년 인도 경영환경 순위는 63위로 5년간 79계단 상승했다. 임금수준은 우리기업 주요 진출국인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비교해 가장 낮으며,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도 투자환경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위험요인이 상존하므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경제성장 저하, 자국 산업보호 강화, 개선속도가 더딘 조세납부·창업·계약이행 관련 기업경영환경, 중국 및 일본 기업 진출로 발생하는 경쟁심화는 인도 투자진출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도 경제동향에 대한 충분한 모니터링, 양국 유관기관 네트워킹을 통한 무역구제 사전예방 및 기업애로 해소 등이 필요하다. 또한, 바이오, ICT, 에너지 등 한인도 협력 시너지가 높은 신산업 협력을 강화하는 등 경쟁국과 차별화된 진출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