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내용
-
2023년 1~5월, 베트남 농림수산물 수출액과 수입액은 각각 11.1%, 8.7% 감소했지만, 과일 및 채소, 쌀 품목의 수출액은 증가
베트남 1~5월, 농림수산물 수출액 202억6,000만 달러 달성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
□ 2023년 1~5월 농림수산물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11.1% 감소한 202억6,000만 달러 기록
ㅇ 농림수산물 수입액은 전년동기대비 8.7% 감소한 131억5,000만 달러
ㅇ 베트남 농림수산물의 아시아 수출액은 2.3% 증가한 97억3,000만 달러, 미주 34.6% 감소한 44억2,000만 달러,
EU 13.2% 감소한 24억2,000만 달러 기록
ㅇ 베트남 농림수산물 3대 주요수출국은 중국, 미국, 일본
□ 과일 및 채소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39% 증가한 19억7,000만 달러 기록
ㅇ 주요수출국은 중국, 미국, 네덜란드, 말레이시아였으며, 특히 중국과 미국의 수요가 급증
- 중국의 경우 시장 점유율 59%를 차지하며 전년동기대비 6% 증가한 8억500만 달러의 수출액 기록
- Vinafruit, 최근 중국이 더 엄격한 수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농산물우수관리제도 지침(GAP)을 따른다면, 더 높은
수출액을 달성할 수 있을 것
□ 쌀의 경우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9% 증가한 20억2,000만 달러, 수출량은 전년동기대비 40.8% 증가한 390만 톤을 기록
ㅇ 올해 베트남 쌀 수출 시장은 중국의 재개까지 더하여 긍정적 전망을 가지고 있음
ㅇ 한편, 최근 베트남 정부는 쌀 수출을 2022년 710만 톤, 34억5,000만 달러에서 2030년까지 400만 톤, 26억2,000만
달러로 감소시킬 것이라고 발표
- 이는 고품질 쌀 수출 촉진, 국내 식량 안보 보장, 환경보호 및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함
- 또한, 수출 시장도 다양화할 것이라고 발표
- 현재는 필리핀이 베트남 전체 쌀 출하량의 45%(2022년 기준)을 차지하는 등 한 국가의 의존도가 높은 편
- 2025년까지 베트남 쌀의 60%는 아시아, 22%는 아프리카, 7%는 미국, 4%는 중동, 3%는 유럽으로 수출되도록 할 것
□ 그 밖에 품목의 경우, 차는 18.9% 감소한 6,500만 달러, 후추는 9.9% 감소한 4억 1,400만 달러, 육류는 59%
증가한 5,800만 달러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