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2023-01-10 462
아세안 역내 생산 자동차 수입 무관세 적용, 2027년까지 연장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
ㅇ 베트남 정부, ‘양자 및 다자간 무역협정에 다른 수입품 특혜관세에 관한 개정 시행령’
(Decree126/2022/ND-CP) 발표(2022.12.30.)
- 아세안 상품무역협정(AGITA)에 따라 11개 회원국에서 수입된 현지화율 40% 이상인 완성차에 대한
수입관세 면제적용 기한을 2027년까지 5년간 연장
ㅇ 베트남 완성차 수입 규모(2022년 9월 당월 기준) : 18,303대, 367백만불
- (국가별) 인도네시아 9,314대, 태국 7,102대로 아세안 역내 생산된 완성차의 수입은 전체수입의 89.7%를 차지
- (종류별) 9인승 이하 차량 15,594대, 수송용 1,662대
ㅇ 베트남 자동차 판매량(2022년 9월 당월 기준) : 33,463대(전년동기대비 147% 증가)
- (국내/수입 구분) 국내조립차량 17,193대, 수입완성차 16,270대
- (차종별) 승용차 25,611대, 상용차 7,539대, 특수차량 313대
ㅇ 또한 동남아시아자동차협회(AAF)에 따르면 2022년 10월 누계기준,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4번째 자동차 판매시장
규모이며 자동차 판매량이 가장 급증한 것으로 분석
< 동남아시아 자동차 판매량(2022. 1~10월) >
(단위 : 대, %)
시 장 | 판매량 | 증가율 | 시 장 | 판매량 | 증가율 |
인도네시아 | 851,413 | 21.1 | 필리핀 | 280,300 | 30.9 |
태국 | 750,597 | 25.9 | 싱가포르 | 35,678 | -30.1 |
말레이시아 | 577,902 | 50.7 | 미얀마 | 6,730 | -14.5 |
베트남* | 322,963 | 52.2 | - | - | - |
* 주 : VAMA(베트남자동차제조업협회) 자료로 비회원사인 현대차 합작법인 TC모터(딴콩) 및 빈패스트(VinFast)
판매량 미포함, 비회원사의 수입차 판매량은 포함
※ [참고] 베트남은 자국 자동차산업 보호 및 교통혼잡 가중을 사유로 자동차에 대한 고율의 세금을 부과,
수입차(5인승 신형 자동차)의 경우 수입관세 90%, 특별소비세 50%, 부가가치세 10%를 더해
수출 전 차량가격의 총 213.5% 가격 수준
ㅇ 상기 이러한 법률 시행에 따라 베트남 내 자동차 조립업체에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