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2022-12-19 310
□ 인도는 컨테이너 관련 제조업을 강화하고 해운 등급 컨테이너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인도 국영 컨테이너 공단(CONCOR), 해운부, 철도부 산하의 공공 기업이 만나 긴밀히 논의하였음
ㅇ 컨테이너 가격은 40피트 컨테이너당 최신 Drewry WCI(세계컨테이너운임지수)가 5,662달러로 작년 9월 정점인 10,377달러보다는 낮지만 5년 동안 평균인 3,664달러보다 55%나 높은 실정임
ㅇ 인도 컨테이너 공사의 전 총괄 관리자는 현재 브레이크 벌크화물로 운송되는 형태를 컨테이너 모드로 전환할 시 물류이익의 증가 예상
- 특히 시멘트, 곡물, 비료 등의 벌크화물을 컨테이너 형태로 연안 및 내륙 수로를 통해 운송할 경우 생기는 물류비용 절감도 클 것으로 추정
ㅇ 인도 조사기관 Grand View Research는 ▲국가 간 무역 협정의 증가 ▲전자상거래 산업 확장 ▲컨테이너 운송의 디지털화 ▲특수 컨테이너 수요 증가로 2028년까지 인도 컨테이너 시장의 확대가 필수라고 언급
□ 인도 정부는 국내 컨테이너 제조를 늘리기 위해 구자라트州의 바브나가르시를 허브로 지정하여 컨테이너 제조 향상을 위한 주춧돌을 세우는 등 만반의 노력을 가하고 있음
ㅇ 인도 정부는 내년 PLI 정책에 컨테이너 제조 부분을 포함시켜 컨테이너 제조업 향상을 통한 물류 순환을 기대한다고 언급함
ㅇ 또한 정부는 공컨테이너 수입 확대, 버려지거나 억류 또는 압류된 컨테이너 해제, 컨테이너 체류 시 면세 등 공급 부족 완화를 위해 다방면의 조치를 취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