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종합무역뉴스

해외뉴스
무역으로도 밀착하는 중러…올해 수출입 작년보다 40% 늘어
  • 대륙아시아,유럽
  • 국가중국,러시아
  • 업종전체
  • 품목전체
  • 출처
#중국,#러시아,#무역

2023-06-09 486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무역으로도 밀착하는 중러…올해 수출입 작년보다 40% 늘어
중국, 한국 등 대부분 국가와의 무역량은 감소

올해 3월 공동성명 서명 후 악수하는 시진핑과 푸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중러 신시대 전면적 전략협력동반자 관계심화에 관한 공동성명'에는 대러 독자제재에 반대하고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책임 있는 대화'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올해 1∼5월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무역액이 938억달러(약 122조5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40.7% 증가했다고 CNN방송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날 발표된 중국 해관총서(세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이후 중국의 대(對)러시아 수출액은 429억6천만달러(약 56조원)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75.6% 늘었다.

이 기간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액은 508억6천만달러(약 66조3천억원)로 지난해에 견줘 20.4% 증가했다.

양국의 총무역액과 중국의 총수출액 모두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고 CNN은 전했다.

작년 우크라이나 침공 후 국제 금융 시스템 추방 등 전례 없는 서방 진영의 제재를 받은 러시아에 중국이 '생명줄'을 건넨 셈이다.

지난달 미하일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는 올해 중국과의 무역이 2천억달러(약 260조원)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런 밀착은 올해 중국이 대부분 국가와의 무역량 감소세를 보이는 점과 대조적이다.

그간 무역량이 많았던 한국, 대만, 뉴질랜드, 미국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중국-대만 무역은 25.5%, 중국-미국은 12.3% 줄었다.

또 대한국 무역은 15.5%, 대일본 무역은 10.4% 감소했다.

[연합뉴스 제공]

빅데이터가 추천하는 다른 컨텐츠도 확인해보세요!

다른 사용자들은 이런 컨텐츠도 같이 봤어요!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