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종합무역뉴스

국내뉴스
유로존, '독일 성장률 하향' 속 1분기 GDP -0.1%…경기침체 진입
  • 대륙유럽
  • 국가독일,EU
  • 업종전체
  • 품목전체
  • 출처
#유로존,#성장률

2023-06-10 375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유로존, '독일 성장률 하향' 속 1분기 GDP -0.1%…경기침체 진입
4분기 이어 2분기 연속 역성장…"올해 남은 기간 더 수축"

독일 베를린의 식료품 상점

유럽연합(EU) 내 최대 경제 대국인 독일의 성장률 수정 등에 따라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이 이미 1분기에 경기 침체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현지시간) 미 CNBC 방송에 따르면 EU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0.1% 늘어난 것으로 봤던 당초 추정치와 달리 0.1% 감소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유로존은 지난해 4분기에도 -0.1%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으며, 2개 분기 연속으로 GDP가 역성장할 경우 기술적으로 침체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수치는 독일·아일랜드·네덜란드·그리스 등의 성장률 하향 조정을 반영한 것으로, 독일은 성장률을 낮추며 침체에 진입했고 아일랜드도 5%에 가까운 역성장을 기록했다.

경제분석기관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앤드루 케닝엄 이코노미스트는 "유로존 경제가 올해 남은 기간에도 더 수축될 것"이라고 비관적 전망을 내놨다.

이로 인해 유럽중앙은행(ECB)이 15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올리기에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평가 속에, ECB 관계자들이 물가 안정을 강조해왔고 경기 수축 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만큼 금리 인상을 멈출 정도는 아니라는 관측도 나온다.

ECB는 지난달까지 '제로 금리' 수준에서 3.75%까지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린 상태로, 시장에서는 이번에도 0.2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따른 소비 둔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 등이 유로존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제공]

빅데이터가 추천하는 다른 컨텐츠도 확인해보세요!

다른 사용자들은 이런 컨텐츠도 같이 봤어요!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