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종합무역뉴스

국내뉴스
中, 대만 63개 식품업체 수입금지 해제…"대만 야당 요구 수용"
  • 대륙아시아
  • 국가중국,대만
  • 업종전체
  • 품목전체
  • 출처
#대만,# 식품업체,# 수입금지

2023-01-30 313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中, 대만 63개 식품업체 수입금지 해제…"대만 야당 요구 수용"

중국이 일부 대만 식품기업들에 대한 수입 금지를 해제했다고 중국 관영 통신 신화사 등 현지 매체가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해관총서(세관)는 전날 63개 대만 기업이 중국 당국의 요구 사항을 해결, 수입 금지 대상에서 해제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 대만 판공실도 "진먼 고량주 등 63개 대만 기업이 신규 등록했거나 등록 정보를 업데이트해 중국의 요구를 충족했다"고 밝혔다. 대만 중앙통신사는 이는 중국이 이들 기업에 대한 수입을 허용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마샤오광 대만판공실 대변인은 "중국은 대만 동포를 존중하고 사랑하며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경제·문화 교류 촉진을 위해 노력해왔다"며 "등록 정보가 불완전하고, 규범화되지 않은 대만 식품기업들에 대해서는 수입 재개를 위해 편의를 제공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대만 식품기업들이 중국 수출에 영향을 받은 것과 관련, (대만 야당인) 훙슈주 전 국민당 주석과 우청뎬 신당 주석, 진먼현 천푸하이 현장 등이 신속한 문제 해결을 요청해왔다"며 "이점을 중시해 적극적으로 처리했다"고 덧붙였다.

수입 금지 해제 조처가 대만의 야당과 현지 주민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한 것이라는 점을 부각, 대만 독립을 추구하며 중국과 첨예하게 대립해온 집권 민진당을 고립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셰창팅 주일 대만대표는 작년 12월 중국의 대만 식품 수입 금지와 관련, "대만 집권 민진당에 대한 농어민 반발심을 유도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해관총서는 작년 12월 대만 기업들의 등록 정보가 불완전하다며 진먼 고량주, 타이완맥주 등 대만산 주류와 음료에 대해 수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당국은 식품업체의 생산 공정과 레시피 등 영업 기밀까지 요구했으며 일부 대만 기업들은 영업 기밀을 지키기 위해 중국 수출을 포기했다고 당시 대만 매체들이 보도했다.

중국은 작년 6월에는 우럭바리 등 대만 수입을 전면 금지한 데 이어 그해 8월에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100여 개 대만 식품 기업을 수입 규제 대상에 올렸다. 대만 대륙위원회는 "중국은 그동안 구체적인 설명 없이 모호한 이유를 내세워 대만 식품 수입을 금지했다"며 "실제 통관이 이뤄지는지 지켜봐야 중국의 수입 규제가 풀렸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제공]

빅데이터가 추천하는 다른 컨텐츠도 확인해보세요!

다른 사용자들은 이런 컨텐츠도 같이 봤어요!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