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종합무역뉴스

국내뉴스
베트남 내 한-일 기업 간 경쟁 심화 예상
  • 대륙아시아
  • 국가베트남
  • 업종전체
  • 품목전체
  • 출처
#베트남

2023-01-25 723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베트남 내 한-일 기업 간 경쟁 심화 예상

한국무역협회 호치민 지부는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및 일본 기업의 재투자 의향 여전히 높아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무협에 따르면 수교 30주년을 맞은 지난해 한국의 베트남 수출은 610억 달러, 수입 267억 달러로 양국 교역액은 역대 최대인 877억 달러를 달성했다. 또한 무역수지는 343억 달러로 베트남이 한국의 최대 무역 흑자국으로 등극했다.

일본의 경우 작년 11월 기준 베트남 수출은 169억 달러, 수입 242억 달러로 411억 달러의 교역액을 기록했으며 무역수지는 72억 달러 적자를 봤다. 투자 부문에서는 작년 11월 누계 기준 한국은 베트남 1위 투자국으로 9511건, 808억 달러를 기록한 반면 일본은 투자건수 2위, 금액 3위로 4968건, 688억 달러였다.

베트남에 진출한 양국 기업의 투자 의향과 관련, 대한상공회의소가 현지에 진출한 26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1%가 투자를 확대할 생각이 있었다. 일본 기업들 역시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가 베트남 진출 기업 597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0%가 향후 2년 내 사업 확장 의향을 비쳤다. 무협 호치민 지부는 “한-일 양국의 공급망 다변화 정책에 따른 베트남으로의 생산기지 이전뿐 아니라 소비시장으로의 중요도 상승으로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베트남 투자 진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국무역신문 제공]

빅데이터가 추천하는 다른 컨텐츠도 확인해보세요!

다른 사용자들은 이런 컨텐츠도 같이 봤어요!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