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해외뉴스

거침없는 美경제, 두 분기 연속 3%대 성장…개인소비가 성장견인

작성 2024.12.20 조회 416

거침없는 美경제, 두 분기 연속 3%대 성장…개인소비가 성장견인

성장률 2분기 3.0% 이어 3분기 3.1%로 잠정치보다 0.3%p 올라가


주간 실업수당 청구도 예상 밖 하락…노동시장 냉각 우려 불식

경제지표 호조에 연준도 '매파 돌변'…파월 "인하속도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

 


미 뉴욕 메이시스 백화점에서 쇼핑백을 든 쇼핑객

 

미국 소비자들이 지속해서 지갑을 열면서 지난 3분기 미국 경제가 기존에 알고 있던 것보다 더 강한 성장세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됐다. 강한 성장세 지속과 함께 노동시장이 빠르게 냉각될 위험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입장을 급선회하게 된 정책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3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확정치)이 3.1%(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한 달 전 발표된 잠정치(2.8%) 대비 0.3%포인트 상향 조정된 수치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2.9%)도 웃돌았다. 확정치는 잠정치 추계 때는 빠졌던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한다. 수출 및 개인소비가 상향된 게 확정치 상향 조정에 반영됐다고 상무부는 설명했다.

 

수출이 9.6% 증가해 잠정치 대비 2.1%포인트 상향됐고, 개인소비지출이 3.7% 증가해 0.2%포인트 상향됐다. 개인소비지출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4.9%) 이후 가장 컸다. 전문가들은 임금 증가세 둔화와 가계저축 고갈 등을 이유로 개인소비가 하반기 이후 둔화할 것이란 예측을 내놨지만 전혀 들어맞지 않았던 셈이다 개인소비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며 미국 경제의 중추를 이룬다.

 

이날 확정치 상향 조정으로 미국 경제는 지난 2분기(3.0%)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연율 기준 3%대의 강한 성장률을 기록하게 됐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직전 분기 대비 성장률(계절조정)을 연간 성장률로 환산해서 GDP 통계를 발표한다. 이날 함께 발표된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예상 밖으로 감소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12월 8∼14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만건으로 한 주 전보다 2만2천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3만건)를 밑도는 수치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2월 1∼7일 주간 187만4천건으로 직전 주보다 5천건 줄었다.

 

이날 발표된 GDP 지표 및 실업수당 청구 지표는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노동시장이 빠르게 냉각될 위험도 낮아졌음을 시사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전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기자회견에서 "노동시장의 하방 위험은 약화한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경제는 놀라울 정도"라고 말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 인플레이션 둔화와 노동시장 냉각을 근거로 '빅컷'(0.50%포인트 금리인하)에 나서며 금리 인하 사이클을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정체되고 노동시장 냉각 위험도 낮아지면서 연준도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겠다며 매파적으로 정책 입장을 선회할 수밖에 없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전날 회견에서 "우리는 (금리 인하) 과정에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금리의 추가조정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