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국내뉴스

세계인이 생각하는 한국 이미지는 “문화콘텐츠 강국”

작성 2022.01.25 조회 12,617
세계인이 생각하는 한국 이미지는 “문화콘텐츠 강국”
외국인 응답자 80.5%가 대한민국 긍정적으로 평가

우리나라가 분단국가 이미지를 넘어 해외에 문화콘텐츠 강국으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KOCIS)이 24개국 1만2500명을 대상으로 한 ‘2021 국가이미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외국인이 본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국가 이미지는 긍정 평가가 80.5%로 전년(78.1%)보다 2.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0년 조사 결과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남북관계 개선’ 순위가 이번에는 낮아졌으며, 10~30대 중심으로 ‘양질의 문화콘텐츠 생산’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이에 분단국가로서의 인지도가 높았던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 강국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인의 대한민국 긍정평가. 처음으로 부정 앞서 = 국가별로 보면 베트남(95%), 터키(92.2%), 필리핀(92%), 태국(90.8%) 등 7개 국가에서는 10명 중 9명 이상이 대한민국의 국가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일본의 경우에는 긍정 평가(35%)가 전년도의 27.6%에 비해 7.4%p 오르는 등 대폭 상승세를 보이며 조사 이래 최초로 부정 평가(26.6%)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본의 대한국 수출 규제가 있었던 2019년 부정평가가 53.2%, 긍정평가가 18.8%였던 것에 비하면 괄목한 성과다.

한국에 대한 관심도는 아시아, 중남미, 중동·아프리카 국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이사, 인도, 태국 등 신남방 국가들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외국인이 응답한 한국에 대한 긍정 이미지 영향요인으로는 현대문화(22.9%), 제품·브랜드(13.2%), 경제수준(10.2%), 문화유산(9.5%), 국민성(8.6%), 사회시스템(7.8%), 스포츠(7.6%), 정치상황(6.2%), 국제적 위상(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조사와 비교해보면 교육·복지·의료 등 사회시스템이 5.9%p, 한국인의 국민성이 5.8%p, 스포츠가 4.6%p 증가해 K-팝이나 K-드라마와 같은 현대문화뿐만 아니라 K-방역과 민주 시민의식 등 전반적으로 다양한 분야와 사회적 측면이 고르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한국인으로는 방탄소년단(15.1%)이 1위로 선정됐다. 2위는 문재인 대통령, 3위 블랙핑크, 4위 이민호, 5위 손흥민, 6위 싸이, 7위 봉준호, 8위 송혜교, 9위 송중기, 10위 반기문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인 중 한류 스타가 6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젊은 층서 한국에 관심 많고 적극 행동 = 한국에 대한 관심을 묻는 8개 문항 중 가장 많은 응답을 받은 항목은 ‘한국 전통문화 체험 희망’이 83.4%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한국 방문 희망(81.1%)’, ‘한국인과 친구 희망(76.6%)’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한국어(한글)학습 희망(54.5%)’이 2020년보다 8.7%p 높아지며 대폭 상승했고, ‘한류 콘텐츠 접촉 경험’은 6.7%p, ‘한국 방문 희망’은 6.5%p 증가했다. 나이별로 살펴보면 젊은 세대(10~30대)를 중심으로 한국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 외국인은 ‘양질의 문화콘텐츠 생산’(23.3%)을 1순위로 응답했고, ‘관광객 유치를 위한 해외홍보’(17.9%), ‘세계적인 브랜드 개발’(16.8%) 등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해문홍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복합문화행사인 ‘코리아 콘텐츠 주간’을 추진하고 재외한국문화원 소재 지역을 중심으로 매체 예술을 활용해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등 세계 속에서 한류가 지속해서 확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높게 나타난 ‘한국전통문화 체험 의향’과 ‘한국 방문 희망’ 등 외국인의 관심도를 반영해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관광자원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지자체와 함께 지역 상생 한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1년도 국가이미지 조사’ 결과보고서는 문체부(www.mcst.go.kr)와 해문홍(www.kocis.go.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무역신문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