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해외시장뉴스

아시아 호치민 지부

[태국 시장뉴스] 미-중 무역 갈등 속 태국 농산물,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

아시아 작성 2025.05.02 조회 107
  • 저자
    호치민 지부
  • 요약
    태국 상무부 산하 무역정책전략국(TPSO)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강화되면서 대체 공급처로서 태국산 제품의 입지가 주목받고 있음.
저자
호치민 지부
요약
태국 상무부 산하 무역정책전략국(TPSO)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강화되면서 대체 공급처로서 태국산 제품의 입지가 주목받고 있음.

-중 무역 갈등 속 태국 농산물,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

 

-중 무역 갈등 심화로 태국 농산물의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

 

 ㅇ 태국 상무부 산하 무역정책전략국(TPSO)은 미-중 무역 갈등의 여파로 미국 내 태국산 농산물의 입지가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함.

 

  - 미국의 대중 견제가 강화되면서 대체 공급처로서 태국산 제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ㅇ TPSO 푼퐁 나이야나파콘(Poonpong Naiyanapakorn) 국장은 미국 시장 내 태국 농산물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며, 이를 다음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음.

 

  - 고잠재력 제품: 이미 미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산을 대체해 추가 성장이 기대되는 품목

 

   * 주요 품목: 반려동물 사료, , 조리된 고등어, 가자미 필렛, 조리 또는 절임 처리된 죽순 등

 

  - 잠재력 제품: 현재는 중국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태국도 일정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어 생산·마케팅 개선을 통해 점유율 확대가 가능한 품목

 

   * 주요 품목: 쌀국수, 당면 등 각종 파스타류, 냉동 오징어, 간장, 고등어 통조림 등 조리된 생선류, 냉동 완두콩 및 강낭콩 등

 

  - 무역 감시대상: 무역전환 감시 품목은 태국과 중국이 모두 생산하지만, 태국 내 공급 부족으로 수입이 필요한 농산물임. 경쟁이 심화될 수 있으나, 값싼 중국산 

                         원재료를 활용해 태국 생산자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기회도 존재함.

 

   * 주요 품목: 생마늘, 절임 채소류, 건고추 및 건고추가루, 건녹차, 건양파 및 양파 가루 등

 

 ㅇ 태국 상무부는 단기적으로 불법 수입 차단 및 농산물 수입에 대한 품질·안전 기준 강화를 추진 중이며, 중장기적으로는 지재권 문제 대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가속화 등을 통해 수출시장 다변화와 경쟁력 제고를 마련하고 있음.

 

 ㅇ 2024년 기준 태국의 대미 농산물 수출액은 476천만 달러에 달했으며, 주요 수출 품목은 반려동물 사료, , 참치 통조림, 과일·채소 주스, 가공식품

     각종 소스 및 조미료, 새우 완제품(새우볼 등), 냉동 새우, 과일 및 견과 가공품, 파인애플 제품 등이었음.

 

 

출처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general/3016066/thai-exports-have-chance-to-enlarge-us-market-share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